실시간 뉴스



[OTT온에어] 아태지역 ‘K-콘텐츠 있고 ,K-OTT 없다’


한국방송학회, ‘아시아와 유럽을 중심으로한 국내 OTT의 국가, 지역별 진출 전략의 모색’

[아이뉴스24 김문기 기자]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K-콘텐츠는 있으나 K-OTT는 없다. 유럽지역은 이미 북미와 로컬 서비스 사업자가 치열한 경합을 벌이는 곳으로 국내 사업자에게 의미있는 곳이라는 분석부터 전제돼야 한다.

즉, 국내 OTT 플랫폼의 해외 진출을 위한 각국의 현황부터 살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방송학회(학회장 하주용)는 19일 오후 서울시 용산구 소재 만리서재에서 ‘아시아와 유럽을 중심으로 한 국내 OTT의 국가, 지역별 진출 전략의 모색’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박천일 숙명여자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이헌율 고려대학교 교수가 ‘아시아 주요 국가 OTT 시장 특성을 중심으로 본 한국 OTT 서비스의 진출 전략’을 주제로 첫 번째 발제를 맡았다. 이미나 숙명여자대학교 부교수와 김선미 고려대학교 연구교수가 ‘글로벌 OTT 시장 변화와 유럽 OTT 서비스 시장의 현황과 특성’을 주제로 두 번째 발제를 이어갔다.

한국방송학회는 19일 오후 서울시 용산구 소재 만리서재에서 ‘아시아와 유럽을 중심으로 한 국내 OTT의 국가, 지역별 진출 전략의 모색’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은 이헌율 고려대학교 교수 [사진=유튜브 캡쳐]
한국방송학회는 19일 오후 서울시 용산구 소재 만리서재에서 ‘아시아와 유럽을 중심으로 한 국내 OTT의 국가, 지역별 진출 전략의 모색’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은 이헌율 고려대학교 교수 [사진=유튜브 캡쳐]

◆ 문화적 할인 가능한 아태지역…지역과 제휴 통한 맞춤형 진출 고려해야

발제에 나선 이헌율 고려대 교수는 아시아 지역 OTT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꼽힌다.

대표적으로 넷플릭스의 경우 아시아는 가입자당평균매출(ARPU)나 수익, 유료 구독자에서 가장 저조한 지역이기는 하나 주요 대상 지역으로 선포하기도 했다. 미진출한 지역이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한 결과다. 디즈니 역시 오는 11월 한국을 포함해 올해 아시아 9개국 서비스를 출시했거나 할 예정이다.

지난해 PWC에 따르면 아시아 태평양 디지털 방송 시장 분야별 비중을 비교한 결과 OTT 서비스는 2015년 3.4%에서 지난 2019년 13.7%로 늘었으며, 오는 2024년 23.5%로 성장할 전망이다.

아시아 지역별로 특성이 갈린다. 인구는 인도네시아가 많으나 GDP나 임금, 구매력 지수 등은 말레이시아가 앞선다. 태국은 인구과 경제면에서 중간적 크기다. 또한 태국은 일본과 더불어 자체적인 제작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은 1억 인구를 바탕으로 빠른 경제성장을 하고 있다. 인구와 경제성장 잠재력이 크다.

이 교수는 주요한 OTT 사업자로 아이플릭스와 뷰(Viu), 훅(Hooq) 등을 소개했다. 아이플릭스는 말레이시아 기반의 OTT 서비스로 월구독자수(MAU) 2천500만을 유치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중국 텐센트에 인수됐다. 다양한 콘텐츠와 저렴한 가격이 경쟁력이다.

뷰는 홍콩 최대 통신사인 PCCW의 OTT다. 월구독자수 3천600만명을 기록하고 있다. 월정액 2달러라는 비교적 저렴한 요금제를 갖추고 있다. K-OTT를 발 빠르게 공급하고 있기도 하다. 훅은 싱가폴의 싱텔과 소니픽쳐스, 워너브라더스가 합작법인을 설립해 내놓은 OTT 서비스다. 훅의 경우 지난해 7월 쿠팡에 인수된 바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쿠팡플레이’를 내놓기도 했다.

각 지역별로 눈여겨 봐야 할 곳으로 인도네시아는 비디오(Vidio)가 꼽힌다. 지상파 채널 계열의 OTT 서비스로 지난 2017년 K-콘텐츠 채널을 개설하기도 했다. 로컬 사업자 뿐만 아니라 중국계 뷰와 아이플릭스, 북미 넷플릭스와 핫스타(디즈니 플러스) 역시 강세다. 대부분 약 3~5만 루피아(약 2~4천원) 수준의 저렴한 요금제를 갖추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이 교수는 “‘아스트로 고’가 최근 멀티 구독형영상서비스(SVOD)를 하겠다고 최근 발표했다”라며, “싱가폴 다음으로 부유한 시장으로 OTT가 발달한 지역이기도 하며 글로벌 디지털세도 도입한 곳으로 주의깊에 봐야 한다고”고 강조했다.

‘아스트로 고’는 지난 2018년 위성방송 및 IPTV를 운영하는 아스트로가 구축한 OTT로 HBO 고와 아이치이 등을 서비스하고 있다. 국내서는 CJ ENM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기도 했다. 로컬 콘텐츠 제작에도 투자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를 아스트로는 넷플릭스와 디즈니 플러스 등 OTT 플랫폼을 담는 허브 역할을 자처한 셈이다.

태국은 특히 국내 네이버와 연관된 일본 라인TV가 1위 사업자로 군림하고 있다. 태국 기반의 OTT 서비스로 대만과 인도, 호주, 홍콩 등 전세계 19개 신규 시장에 진출해 있다. 이 교수는 태국 콘텐츠를 가장 많이 서비스하는 제작사 기반의 OTT로서 발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기도 헀다.

베트남은 저가 시장 형성과 불법 사용 등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는 지역이다. OTT 앱 사용자중 85% 이상이 무료 사용자다. 불법 사용 역시 무료 400개가 넘고 업로드 속도 또한 빠르다. 게다가 중국과 말레이시아뿐만 아니라 한국 콘텐츠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다만 이 교수는 발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그는 “베트남은 자국내 OTT 서비스인 PFT가 1등이며, 스마트폰이 90% 이상 보급돼 있는 곳으로 OTT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커머스 영향으로 아마존 프라임이 1위를 달리고 있다. 넷플릭스의 경우 5위 사업자로 2,3,4위 모두 로컬 서비스 사업자들이 자리하고 있다.

이같은 지역적 특성을 기반으로 국내 OTT 사업자들이 진출을 고려할 때 지역 사업자와 어떤 방식으로 제휴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가 핵심이라는게 이 교수의 제언이다.

이 교수는 “아스트로 고의 경우에는 국내 OTT 플랫폼이 번들로 들어가는 방식이나 베트남의 경우에는 광고 기반의 방식 도입ㅂ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라며, “K-콘텐츠를 가장 많이 구입해 동남아에 보급하는 곳은 중국계 뷰나 아이치이로 이들의 진출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도 고려 대상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넷플릭스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저작권을 가져가야 할지를 살펴야 한다”라며, “태국이나 인도 콘텐츠가 아시아에서 인기를 끄는 이유는 긴 호흡의 장편 드라마를 제작하기 때문인데 우리는 미니시리즈가 대세이기 때문에 이부분에 대해서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문기 기자(moo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OTT온에어] 아태지역 ‘K-콘텐츠 있고 ,K-OTT 없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