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부산 역세권 아파트, 비역세권보다 평균 28% 비싸


역세권 입지 단지 3.3㎡당 303만원 더 높아

[아이뉴스24 김서온 기자] 수도권뿐만 아니라 부산에서도 역세권 여부가 집값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부산 1∙2∙3호선 역 가운데 대표 역 3곳을 꼽아 역세권 위치와 비역세권 위치에 있는 아파트 간의 가격을 비교한 결과 금액적으로는 역세권 아파트가 비역세권 아파트보다 3.3㎡당 평균 303만원(28%) 더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부산 1호선 부전역 역세권 아파트(직선거리 80여 미터) '서면 롯데캐슬 스카이'는 지난달 기준 아파트값은 평균 1천240만원(3.3㎡당)이다. 반면 같은 역을 이용하지만 역과의 거리가 약 1㎞(직선거리) 정도인 '서면 쌍용 스윗닷홈 파크'의 가격은 평균 893만원(3.3㎡당)이다. 두 단지 간의 매매가 차이는 350만원(39%)으로, 전용84㎡ 기준으로 환산하면 역세권 아파트값이 1억1천만원 정도 높다. 입주년도는 서면 쌍용 스웟닷홈 파크가 2007년에 입주, 서면 롯데캐슬 스카이는 2004년 입주했다.

부산 내 역세권과 비역세권 아파트 매매가 비교. [사진=더피알]

2호선도 상황은 비슷하다. 벡스코와 센텀시티를 사이에 둔 센텀시티역과 직접 연결되는 '트럼프월드 센텀 1단지(2006년 입주)'의 아파트값은 3.3㎡당 평균 2천282만원이다. 반면 벡스코 넘어에 있는 '해운대 엑소디움(2009년 입주)'의 가격은 3.3㎡당 평균 1천912만원이다. 두 단지의 가격차이는 3.3㎡당 370만원(19%)에 달한다.

3호선 역세권 아파트값도 비역세권 보다 높았다. 3호선 만덕역과 가까운 '부산만덕 2 휴먼시아(2001년 입주)' 아파트값은 3.3㎡당 평균 848만원이다. 역과 400미터 떨어져 있는 '신만덕 유림 노르웨이 숲(2003년 입주)'의 아파트값은 3.3㎡당 658만원이다. 두 단지는 3.3㎡당 190만원(28%)의 가격차이를 보인다.

역별로 가격 차이를 보이긴 했지만 공통적으로 역과 인접한 역세권 아파트값이 비 역세권 아파트값 보다 높게 나타났다.

역세권 아파트는 청약 성적도 우수하다. 올해 명륜역(1호선)과 부전역(1호선) 역세권 입지인 '힐스테이트 명륜 2차'와 'e편한세상 시민공원'의 경우 청약자를 각각 2천126명과 6천812명을 모으면서 순위 내 청약을 마쳤다.

가야롯데캐슬골드아너 야경투시도. [사진=롯데건설]

한편, 부산 내 역세권 아파트값이 비역세권보다 높고, 분양시장에서도 우수한 청약결과를 보이는 가운데 이달 롯데건설은 부산2호선 동의대역 역세권에 '가야 롯데캐슬 골드아너' 분양을 앞두고 있다.

/김서온 기자 summer@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부산 역세권 아파트, 비역세권보다 평균 28% 비싸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NCT 드림, 공항 시선 싹쓸이 하는 존재감
NCT 드림, 공항 시선 싹쓸이 하는 존재감
에스파 지젤, 숨막히는 연예인 포스
에스파 지젤, 숨막히는 연예인 포스
에스파 윈터, 도도한 상속녀 느낌
에스파 윈터, 도도한 상속녀 느낌
에스파(aespa), 너무 다른 매력의 공항패션
에스파(aespa), 너무 다른 매력의 공항패션
에스파 카리나, 아침을 깨우는 요정 미모
에스파 카리나, 아침을 깨우는 요정 미모
티파니 영, 여전한 러블리 매력
티파니 영, 여전한 러블리 매력
수영, 끝없는 다리 길이
수영, 끝없는 다리 길이
효연, 갈수록 예뻐지네~
효연, 갈수록 예뻐지네~
유리, 테토녀 바이브~
유리, 테토녀 바이브~
서현, 청순 미녀의 나노 발목
서현, 청순 미녀의 나노 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