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대통령 선거, 네티즌이 좌우한다


 

'대통령이 되고 싶으면 네티즌에게 물어봐'

대선(大選)이 40일이 채 남지 않게 다가오면서 후보들의 선거공방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각 후보진영에서는 한 표라도 더 얻기 위해 정책개발, 홍보활동, 거리유세 등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

이번 대선은 지난 97년 12월 18일, '국민의 정부'를 출범시킨 이후 꼭 5년만인 오는 12월 19일에 치뤄진다.

97년 대선에 비해 올해 대선이 크게 달라진 것 중의 하나는 전체 유권자에서 차지하는 네티즌의 비율이 엄청나게 높아졌다는 점이다.

◆유권자 절반은 네티즌

지난 97년 대선 때의 총 유권자 수는 3천229만416명이었다. 당시 국내 인터넷 이용자 수는 163만4천명. 단순 대비하면 유권자 수의 5.1%밖에 안되는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었던 셈이다.

물론 인터넷 이용자 수에는 19세 미만의 인구가 포함돼 있고 이들은 유권자가 아니다. 더구나 인터넷 이용율은 항상 19세 미만의 연령층이 가장 높다.

이같은 요소들을 감안하면 97년 당시 투표권자 중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었던 사람의 비율은 2~3%에 불과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당시 대선후보 중에는 현 대통령인 김대중씨만 개인 홈페이지를 만들어 운영했었고 그 자체가 이색적인 뉴스거리였다.

그러면 올해 대선의 경우는 어떤가?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6월 13일 치러진 지방선거때 전국의 유권자 수는 모두 3천474만4천232명이었다. 행정자치부는 올 12월 대선 때의 유권자 수를 3천511만7천명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지방선거 당시 유권자의 연령대별 분포를 보면 20대가 816만3천927명으로 전체 유권자의 23.5%를 차지했고 30대는 882만7천389명으로 25.4%를 점했다.

또 40대는 768만3천621(22.1%), 50대는 449만9천520명(13.0%), 60세 이상은 556만9천775명(16.0%) 이었다.

그런데 한국인터넷정보센터가 조사한 올 6월 현재 연령대 별 인터넷 이용률을 보면 20대가 86%, 30대가 66.7%, 40대가 38.9%, 50대 이상이 9.6%인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올 12월 대선에서의 연령대별 인터넷 이용자 숫자를 추정해 보면 이번 대선에서는 대략 20대는 702만명, 30대는 590만명, 40대는 298만명, 50대 이상이 97만명 가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체 유권자 수의 약 48.5%에 해당하는 숫자다.

쉽게 말해 올 12월 대통령 선거에서는 투표하는 사람의 절반 가량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들이란 의미다.

물론 지방선거에서 높아진 네티즌의 영향력이 눈에 띄게 보여지진 않았다. 그러나 대선때는 투표율이 훨씬 높아진다는 점에서 이번 대선에서는 네티즌의 영향력이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0년 4월 13일에 치러진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의 투표율이 57.2%에 그쳤고, 그 이전인 98년 6월 4일의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는 52.7%에 그쳤다. 그러나 97년 12월의 대통령선거의 투표율은 80.7%였다.

특히 오프라인보다 훨씬 더 빠르게 여론의 흐름이 바뀌는 사이버 공간에서 이들 주력으로 부상한 네티즌들의 동향이야 말로 대선의 판도에 결정적인 변수가 될 수도 있다.

여건이 이같은데 선거운동에서 인터넷이 무시될리 없다. 대선후보들은 하나같이 홈페이지를 통해 네티즌들을 '공략'하고 있다. 한 후보의 경우 인터넷운동본부 직원만 30명에 달한다. 이들은 매일 3천~7천건에 달하는 네티즌을의 의견을 취합해 분류하고, 해석해서 1일 단위로 기획팀에 전달한다.

이들 자료는 선거전략수립, 공략개발에 뿐만 아니라 후보의 연설문에도 반영된다.

후보 게시판에 올라오는 네티즌들의 반응은 다양하다. 단소리 쓴소리가 있는가 하면 전문가들의 정책조언도 있다. 근거 없는 흑색선전이 있는가 하면 네티즌들간의 원색적인 비난도 오간다.

◆'네티즌의 투표율은 '높다''

한 후보의 인터넷운동원은 "인터넷이 보편화 되면서 이번 대선에서 네티즌의 연령분포가 20대부터 40대에 걸쳐 골고루 분포돼 있다."며 "여론주도 층이라고 할 수 있는 30대를 타깃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 이같은 연령별 분포는 '네티즌은 투표를 하지 않는다'라는 기존 관념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즉 20대가 네티즌의 대부분일 때는 통용될 수 있는 말이지만 이미 30~40대로까지 보편화 된 상황이어서 네티즌이라고 투표율이 낮다고는 볼 수 없다는 것이다.

30~40대 여론 주도층이 네티즌이다 보니 이들을 묶어 자신에게 유리한 세력으로 만들려는 각 후보들의 노력도 치밀하고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 후보의 선거기획실 관계자는 "교수, 연구원 등 각계 전문가 5만명의 DB를 확보하고 있다."고 밝히고 이들에게 이메일을 통해 정책제안을 받고, 선거공략에 필요한 각종 의견을 모니터링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른바 인터넷을 통해 '노풍'을 일으켰던 노무현 후보는 "리눅스 정신으로 정책을 만들라!"고 선거참모진들에게 얘기하고 있다.

각 후보들이 네티즌을 상대로 열심히 '운동'을 하고 있지만 아직은 선거운동의 주류문화로까지 발전한 모습이라고는 할 수 없다. 각 후보의 사이트는 아직은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정책도구화 할 '풀뿌리 민주주의의 장'의 구실을 해내기엔 부족한 점이 많다.

후보들 마다 정책제안 코너를 두고 있고 토론의 장도 마련해두고 있지만 활동이 활발해 보이지는 않는다. 그나마 활성화된 곳은 게시판 정도다.

노무현 후보 진영의 인터넷선거 특별본부 천호선 실장은 "아직은 네티즌 개개인과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실현시키지는 못하지만 매일 의견의 흐름을 취합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어 50% 가량은 쌍방향성을 실현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이같은 한계점은 선거법, 정기간행물법 등 현행 법체계가 변화한 환경을 좇아오지 못하고 있는데서도 기인한다.

얘컨대 각 후보들은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정견발표를 하고, 네티즌과 실시간 토론도 하고, 광고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같은 수단이 막혀 있다보니 유권자의 50%에 달하는 사람들이 네티즌임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인터넷 공간이 '선거축제'의 공간으로까지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돈안 드는 선거', '유권자의 참여를 담보로 하는 정책선거', '투명하고 깨끗한 선거'는 인터넷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서 더욱 빠르고 확실하게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백재현기자 bria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대통령 선거, 네티즌이 좌우한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