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반값 통신' 아직 요원한 이유


[통신시장 첫단추 다시꿰기-2]요금인하·생태계 살리는 묘수 필요

[강은성기자]가계통신비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으면서 정치권에서도 통신비 인하 정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음성통화료 20% 인하를 넘어 기본료나 가입비 폐지를 고려해야 한다는 메시지도 등장하고 있다.

반면 통신사들은 수익 지표가 고꾸라지고 있다며 요금인하 목소리에 손사레를 친다. 수익이 줄고 있는데 '팔목만 비틀면 되냐'는 시각이다.

통신업계 전문가들은 정부나 정치권의 직접적인 요금인하 압박보다는 경쟁을 통해 요금이 내려가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아울러 근본적인 사업모델 변화를 통해 변화하는 스마트 생태계에 통신사부터 적응해 나가야 한다는 의견도 힘을 얻고 있다.

◆요금인하, '경쟁'이 해법

스마트폰 보급 이후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통신료가 2배 가량 올랐다고 느낀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시장조사업체 마케팅인사이트가 올 초 발표한 '10~11년 휴대폰 기획조사'에서 휴대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 이용후 3만원가량 요금이 오른 것 같다고 응답했다. 실제로 청구서 기준 요금 통계는 2% 가량 오른데 그쳤지만 소비자들은 요금이 올랐다고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 요금에 만족한다고 답한 이용자가 22%에 그친데 비해 불만족스럽다고 답한 이용자는 36%에 달했다.

정치권에서는 이같은 소비자 목소리를 총선과 대선에 적극 반영하겠다는 움직임이다.

새누리당은 지난 4.11 총선에서 ▲음성통화료 20% 인하 ▲LTE 데이터무제한요금제 도입 ▲보조금 대신 요금할인제 도입 등을 통신료 인하 공약으로 내걸었다. 민주통합당 역시 4.11 총선에서 '반값통신료'를 공약으로 내 걸고 기본요금 및 가입비 폐지, 문자메시지 요금 무료화 등을 주장했다.

하지만 이같은 일방적 요금인하 압박에 대해 통신사들은 고개를 절레절레 흔든다.

통신사 고위 임원은 "지난 해 단행한 1천원 기본료 인하 정책은 통신사들의 수익에는 직결되는 사안이었지만 정작 고객들은 1천원 인하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일방적인 요금인하 조치로 인해 통신산업계는 멍들고 국민들은 '생색내기 정책'이라며 반발하니 승자가 아무도 없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통신정책 전문가 역시 근거없는 '포퓰리즘'식 통신비 인하 공약은 산업 생태계를 저해할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낸다.

통신관련 연구기관 관계자는 "가계통신비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통신사 성장의 활로도 함께 열어줘야 한다"며 "통신산업의 뒤에는 수만가지의 솔루션, 콘텐츠, 장비 기업으로 이뤄진 생태계가 존재하며, 이 IT 생태계는 일자리 활성화의 촉매제가 될 수 있는데 연구가 선행되지 않은 무조건적인 요금인하 압박은 생태계 활성에 딜레마가 된다"고 말했다.

이를 반영하듯 이계철 방송통신위원장도 "통신요금인하는 시장 경쟁을 통해 자율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동통신재판매(MVNO) 활성화 정책을 내놓고 '반값휴대폰'이 나오도록 유도하는 한편 '단말기 자급제'를 시행해 투명한 유통경로를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통신비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의도다.

◆'엄살' 사라진 통신사, '환골탈태' 필수

통신사 역시 스마트폰 시대가 열리면서 기존 수익구조로는 생존할 수 없다고 자각하고 있다.

통신사 관계자는 "현재의 요금과 보조금 체계도 바뀌어야 하고, 통신사들의 사업모델도 개편할 수밖에 없다"고 얘기했다.

실제로 지난 2011년부터 통신사 경영환경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주가 역시 바닥을 치고 있지만 국민들의 시선은 차갑기만 하다. 이는 과거 막대한 수익을 남기면서도 요금인하에 대한 국민적 기대감을 번번히 저버린 탓이 적지 않다.

통신사에 대한 이용자의 막연한 반감은 카카오톡이나 마이피플과 같은 모바일메신저 서비스의 열풍에서도 엿볼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톡이 보급된 이후 개별 통신사 문자 이용량은 연간 50억건에서 지난 해 30억건으로 줄었다. 카카오톡을 활발히 이용하다보니 가입자당월평균통화량(MOU)도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마이피플과 같은 모바일전화 서비스도 MOU 감소에 한 몫을 하고 있다.

다음커뮤니케이션 이병선 이사는 "마이피플로 무료통화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품질'이 다소 좋지 않더라도 저렴하게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는다"면서 "그만큼 소비자들이 요금에 민감하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통신사 관계자는 "전통 통신산업 수익을 위협하는 강력한 경쟁 서비스가 생각도 못했던 영역에서 등장했다. 카카오톡이나 마이피플이 그 예"라면서 "이들은 우리 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통신사 숨통을 죄고 있지만 그렇다고 이를 '무임승차'라며 차단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KT가 삼성전자의 스마트TV 애플리케이션 장터를 차단하는 등 통신망을 이용한 인터넷 사업 영역이 넓어질 수록 통신사와 인터넷 사업자의 대립각도 첨예해지고 있다.

통신사 관계자는 "트래픽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품질 유지를 위해 투자는 점점 늘어가는데, 이용사업자들은 '망중립성'이라는 원칙 아래 망에 대한 가치는 인정해주지 않고 있다"면서 "요금인하 압박, 망중립성, 수익모델 위협 및 경쟁상황 심화 등 현재 통신사는 사면초가와 같은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 관계자는 "때문에 우리만의 살 길을 찾고, 통신서비스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도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사내외에서 높다"고 덧붙였다.

SK텔레콤이 하이닉스반도체를 인수하고, KT가 금호렌터카와 BC카드를 인수하면서 통신이 아닌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시켜나가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아울러 전통 통신영역에서도 기존의 '보조금' 중심 경쟁보다 새롭고 투명한 영업방식을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KT가 앞장서 '페어프라이스' 등으로 가격정찰제를 시행하는가 하면 SK텔레콤이 '안심대리점'을 지정해 투명한 유통체계를 확립시키려 하는 것도 보조금 경쟁을 지양하고 유통체계를 바꾸기 위한 일환이다.

한발 더 나가 5월1일부터 시행되는 단말기 자급제를 계기로 그동안 단말기 가격을 요금할인으로 보조해 주던 관습도 깨 버려야 한다는 요구가 높다.

강은성기자 esther@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반값 통신' 아직 요원한 이유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