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앞과뒤]구글의 어설픈 해명과 구글의 힘


국내 포털도 뉴스콘텐츠 정책 반성해야

지난 주 구글은 동아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스포츠조선, 전자신문, 조선일보, 한국경제, 한국일보, 헤럴드미디어, 국민일보 등이 참여하는 디지털 아카이빙 사업인 '뉴스뱅크'에 "다른 포털에 뉴스공급 중단을 전제로 지원하겠다"는 방안을 공식제안 했습니다.

지난 4일 양측의 논의가 이뤄졌고 지난 6일에는 참여 언론사들에게 구글이 제안한 방안이 공개됐지요.

아이뉴스24에 기사가 나가자 구글코리아측은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했습니다. 구글코리아측은 "애드센스 등 광고플랫폼을 소개하기 위해 뉴스뱅크 등과 논의한 것은 사실이지만, 배타적 서비스를 전제로 제안한 것은 아니다"라는 겁니다.

기밀유지협약서(NDA) 사안이었던 만큼, 구글코리아의 "사실무근" 주장은 이해될 수 있습니다. 구글은 보도 이후 "없었던 것으로 하자"고 뉴스뱅크측에 항의했다고 합니다.

또한 뉴스뱅크 관계자는 "구글과 해당 언론사들간 제휴가 이뤄지더라도 국내 네티즌들의 뉴스 보는 습관은 달라지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네티즌들에게는 별다른 변화없이 신문사들과 국내 포털간 이해관계를 조정하자는 의미라는 말입니다.

그러나 이런 주장들은 한마디로 앞뒤가 맞지 않는 어설픈 해명으로 보입니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형국입니다. 왜냐하면 '해당 신문사들과 포털간 이해관계 조정'이란 말은 네이버나 다음에서 주로 뉴스를 봐 왔던 네티즌들의 습관을 바꾸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뉴스뱅크는 뉴스ML 사업이란 것을 통해 뉴스콘텐츠 형식을 표준화시키고 있습니다. 참여 언론사들의 뉴스형식이 표준화되면 '뉴스+광고(문맥광고)'형태로 언론사들이 뉴스유통사업을 주도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네이버 등과 계약해 매월 일정정도의 비용을 받는 수준이어서 기사에 붙는 광고는 포털이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그러나 뉴스뱅크의 모델이 구축되면 해당 언론사 스스로가 광고에 대한 주도권을 갖게 됩니다.

이때 언론사들은 두가지 방안을 택할 수 있게 됩니다. 자체적인 인터넷 뉴스유통플랫폼(네이버 뉴스식 독자사이트)을 운영하거나, 아니면 기존 포털의 유통플랫폼(네이버, 다음, 구글 등)을 이용하면서 광고수익 분배를 보다 정교하게 하는 일입니다.

두가지 방안은 콘텐츠를 주고 월사금을 받는 현재의 계약과는 다릅니다. 구글이 뉴스뱅크 참여 언론사들에 제안한 것은 바로 이 부분입니다.

주목할 만한 것은 구글이 언론사들이 독자적인 뉴스사이트를 만들 경우 지원 의사를 밝힌 점입니다.

뉴스뱅크는 NHN 등 국내포털들에게도 비슷한 제안을 했지만, 독자 뉴스서비스에 까지 나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구글의 제안이 보도된 뒤, 국내 포털들도 대응책 마련에 숙고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건 무얼까요. 몇가지 원칙이 필요할 듯 합니다.

우선 인터넷 킬러콘텐츠 중 하나인 뉴스를 만드는 언론사들이 포털 뉴스 유통으로 인해 심각한 경영상의 어려움에 직면했다는 점입니다. 동영상 앞단 광고만 해도 일부 포털이 불허하면서 생태계를 위협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원저작자(언론사)의 권리를 존중하겠다는 구글의 제안은 신선해 보입니다.

두번째는 구글 역시 기업이라는 점입니다.

구글은 기존 100% 아웃링크를 수정해 최근 AP, AFP, UK 프레스 어소시에이션(U.K. Press Association), 캐나다 프레스(Canadian Press) 등 4개 통신사와 계약하고 뉴스를 직접 서비스하기로 했습니다. 인용보도로 원저작자(통신사)의 권리가 훼손되는 현실은 잘못됐다는 게 구글의 판단입니다. 이런 점에서 이번 제안도 혁신적인 것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구글은 도서관 프로젝트와 관련, 미국 비영리집단인 작가협회로 부터 소송을 당하는 등 검색에서 언론·출판 시장으로 나가면서 법적분쟁에 휘말리고 있습니다.

미국현지에서는 저작권으로 분쟁하면서, 국내에서는 언론사와의 상생을 말하는 구글...이번 사안이 구글코리아의 영업력 강화 전략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는 대목입니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네티즌의 권리 문제입니다.

구글이 NDA에 따른 책임을 물어 제안을 파기하든 그렇지 않든지 간에, 국내 언론은 뉴스의 품질을 높여 한국 문화 창달에 기여해야 하고 국민들은 인터넷으로 편하게 볼 수 있어야 합니다.

포털 뉴스보기가 '갑자기' 사라진다면, 국민들은 불편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이런 일이 구글의 힘에 의해서 이뤄진다면 씁쓸합니다.

네이버나 다음 같은 국내 포털들은 이번 구글의 제안에 대해 한번쯤 되새겨 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현재의 뉴스 서비스로는 앞으로 변화하는 디지털 아카이브 사업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자신의 뉴스콘텐츠 정책을 되돌아봐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포털 뉴스보기'가 대중화된 상황에서 언론사들이 수백·수천만원에 불과한 월 콘텐츠 이용요금만 받아가는 구조로는 국내 문화콘텐츠의 토대가 약화될 수 있습니다.

웹에 한국어 콘텐츠가 거의 없던 시절, 네이버가 두산백과에 돈을 줘서 관련 시장을 지키내려 했던 의지가 다시한번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김현아기자 chaos@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앞과뒤]구글의 어설픈 해명과 구글의 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