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홍성효 기자] 서울시교육청이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을 결합한 '노후 교사동 안전관리 시스템'을 가동한다. 노후화된 교사동 비중이 2025년 기준 전체의 34%에 달하는 가운데 안전등급 사각지대 해소와 선제적 보강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25일 서울시교육청은 '노후 교사동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실시간 계측 기반의 위험 감지와 함께 AI 분석으로 교사동의 잔존 수명과 보수 시점을 사전에 예측하는 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점검 주기도 단축하고 기존 5단계로 나뉘던 안전등급 을 세분화해 관리의 정밀도를 높인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종합대책을 통해 노후 교사동 안전등급 체계를 기존 A~E 5단계에서 A~E는 유지하되, C등급을 C1부터 C4까지 4단계로 나눴다. 특히 C4는 D등급 직전 상태로 별도의 '노후 위험 건축물'로 지정해 집중 관리 대상으로 삼는다.
정밀안전점검 주기도 기존 4년에서 3년으로 단축된다. 점검 시기도 학사일정을 고려해 주로 겨울방학 중으로 조정함으로써 수업 차질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가장 큰 변화는 실시간 감지 체계다. 교육청은 구조물의 기울기, 균열, 내구성 등 주요 정보를 감지하는 IoT 센서를 위험 예측 교사동 19개소에 우선 설치한다. 건물당 약 2000만원의 초기 설치비와 연 800만원의 유지비가 소요될 전망이다. 측정된 데이터는 학교와 교육청에 실시간 전송되며 기준치를 초과하면 즉시 경보가 발송된다.
엄병헌 서울시교육청 교육시설안전과 과장은 "사람이 상시 점검하기 어려운 사각지대를 기계가 감지하게 되는 것"이라며 "시공간 제약 없이 신속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교육청은 중장기적으로는 웹 기반의 '교육시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시설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관리하고 보수·계측의 우선순위를 자동 산출하는 체계까지 구현한다. 1단계로 2025년까지 웹 시스템을 구축하고 2단계에서는 AI 기반 예측 모델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AI는 교사동의 사용 연수, 손상 정도, 지반 상태 등을 종합해 위험 가능성을 예측하고 시설별 유지보수 시점도 도출해낸다. 이를 통해 한정된 예산의 효율적 사용도 가능하다는 평가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2025년 기준 노후 교사동은 전체 연면적의 약 34%에 달하며 2035년에는 절반 이상(50.5%)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기존 방식으로는 위험 건축물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막기 어렵다는 진단이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이번 종합대책을 통해 노후 교육시설의 장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학생과 교직원이 안심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IoT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시설 관리를 통해 미래지향적인 시설 관리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홍성효 기자(shhong0820@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