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서울 청년인구, 3년 연속 '순유입'…청년 가구 64%는 '1인 가구'


'서울시 청년 통계' 첫 발표
인구·주거·일자리 등 분석

[아이뉴스24 김한빈 기자] 서울에 순유입된 청년인구가 3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년 가구 열 중 여섯은 1인 가구로 확인됐다.

서울 전출입 청년 인구 추이(2016년~2024년) 그래프. [사진=서울시]
서울 전출입 청년 인구 추이(2016년~2024년) 그래프.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25일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만 19∼39세)의 인구·주거·일자리·건강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서울특별시 청년 통계(2023)'를 최초로 작성해 공개했다.

이번 통계는 서울시 등록 인구, 서울서베이, 통계청 통계등록부, 국민연금, 사학연금, 건강보험 등 기존 통계 17종을 재가공한 것이다.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서울에 거주하는 만 19~39세 청년인구는 약 286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30.5%를 차지했다.

서울 청년인구는 2016년 318만명에서 감소하고 있지만, 서울로 순유입된 청년은 2022년 3만 1551명, 2023년 2만 7704명, 2024년 1만 5420명으로 3년 연속 순유입됐다.

서울 전출입 청년 인구 추이(2016년~2024년) 그래프. [사진=서울시]
서울 청년 가구·청년 1인 가구 비율 표. [사진=서울시]

2023년 한 해 동안 서울을 떠난 청년은 약 23만 5000명으로 가족, 직업, 주택 순으로 전출했고 같은 해 서울로 유입된 청년은 26만 2000명으로 전입 사유는 직업(46.4%), 가족, 교육 순이었다.

청년 가구는 2022년 기준 120만 가구로 2016년 대비 13.7% 증가했다. 서울 전체 가구의 29.3%를 차지했으며 그중 1인 가구 비율은 64.48%에 달했다. 청년 여성 1인 가구 비율은 70.6%로 청년 남성 1인 가구 비율(59.1%)보다 많았다.

특히 청년 가구의 44% 이상이 50㎡ 미만 소형 주택에 거주하고 있었다. 이 비율은 2016년 32.7%에서 2022년 44.2%로 6년 새 약 11%포인트(p) 증가했다.

청년 경제활동인구는 약 208만명이었고 그중 취업자는 198만명으로 집계됐다. 청년 취업자 가운데 법인 근무자는 58%, 종사자 300명 이상 대기업 재직자는 39.9%로 나타났다.

서울시 청년 통계 자료는 서울열린데이터광장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주거·고용·건강 등 청년 생활 전반에 걸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된 통계를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해 오늘을 살아가는 청년 삶에 꼭 필요한 정책과 사업을 더 정교하게 발굴 및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한빈 기자(gwnu20180801@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서울 청년인구, 3년 연속 '순유입'…청년 가구 64%는 '1인 가구'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하고 전당대회 출마하겠다"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하고 전당대회 출마하겠다"
모두발언하는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모두발언하는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기자회견 마치고 인사하는 김선교 의원
기자회견 마치고 인사하는 김선교 의원
'양평고속도로 의혹' 출국금지 기자회견하는 김선교 의원
'양평고속도로 의혹' 출국금지 기자회견하는 김선교 의원
출국금지 관련 기자회견하는 김선교 의원
출국금지 관련 기자회견하는 김선교 의원
비상대책회의 참석하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
비상대책회의 참석하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
비대위 발언하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비대위 발언하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발언하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
발언하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
[아이포토] 우원식 국회의장 예방한 김민석 신임 국무총리
[아이포토] 우원식 국회의장 예방한 김민석 신임 국무총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