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고물가·고금리 최대 피해는 '45세 미만 전세 거주자'


한은 "취약층 부담 가중…물가안정 중요"

[아이뉴스24 정태현 기자] 고물가·고금리에서 가장 손해를 본 가계는 전세에 거주하는 45세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은행이 가계 연령과 주거 형태별로 고물가·고금리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변동형 금리 대출과 전세보증금을 동시에 보유한 가계에서 물가, 금리 부문에서 모두 손해를 봤다. 자가에 거주하는 45세 이상 70세 미만 가계는 물가와 금리 모두 이득을 봤다.

[그래프=한국은행]
[그래프=한국은행]

지난 2021년부터 급격히 상승한 물가는 민간 소비를 상당 폭 둔화했다. 지난 2021~2022년 소비 증가율은 지난 2020년 4분기 9.4% 대비 약 4%포인트(p) 낮아졌다.

지난 2021년 이후 최근까지 누적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총 12.8%다. 연이율로 따지면 3.8%다. 2010년대 평균 연이율 1.4%의 2.7배 수준이다. 실효 물가상승률은 식료품 등 필수재 비중이 큰 고령층과 저소득층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금융자산과 부채를 각각 얼마나 보유했는지에 따라 물가 상승에 따른 영향도 달랐다. 물가가 상승하면 금융자산과 부채의 실질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이다.

전세 거주자들은 대체로 전세 보증금의 실질 가치가 하락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대출도 했다면 금리가 상승해 늘어난 이자 비용 부담도 커지게 된다. 부채 가치가 하락해 이득을 얻기도 하지만, 이자 비용 증가로 그 효과가 상당 부분 상쇄됐다.

대체로 자산이 많은 고령층은 금리 상승으로 이득을 보는 편이었다. 이중 고정금리 대출을 많이 한 가계라면, 물가 상승으로 부채의 실질 가치가 하락한 효과도 볼 수 있었다.

한은은 "앞으로 물가 오름세가 둔화함에 따라 소비가 물가로 위축되는 효과도 약화할 것"이라면서도 "고물가는 취약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하는 부정적인 재분배 효과도 있는 만큼, 물가안정 기조를 유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태현 기자(jth@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고물가·고금리 최대 피해는 '45세 미만 전세 거주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