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넷플릭스 천하'의 민낯…"韓 유료방송 시장 잠식 위기"


지상파방송·PP, 광고시장 위축에 재원 조달 어려움…유료방송 플랫폼도 가입자 정체
2023년 하반기 기준 유료방송 가입자 3631만명…2015년 이후 첫 감소세
유료방송 플랫폼 vs 콘텐츠사업자 갈등 지속…"집안싸움 끝내고 OTT 대응해야"

[아이뉴스24 안세준 기자] "방송 광고 시장 위축으로 국내 OTT 사업자의 제작 수요는 감소하는 반면 글로벌 OTT 사업자인 넷플릭스의 영향력은 더 강화되고 있다."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유료방송 생태계 조성 방안'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참여한 하주용 인하대학교 교수는 "최근 넷플릭스, 유튜브 등 글로벌 OTT의 국내 확산으로 지상파 방송과 방송채널 사업자는 물론 유료방송 플랫폼사업자의 시장을 잠식해 위기를 맞게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유료방송 생태계 조성 방안'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참여한 하주용 인하대학교 교수가 발제하고 있다. [사진=안세준 기자]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유료방송 생태계 조성 방안'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참여한 하주용 인하대학교 교수가 발제하고 있다. [사진=안세준 기자]

지상파 방송과 PP는 광고시장 위축으로 재원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데다 유료방송 플랫폼사업자는 글로벌 OTT 등으로 인한 가입자 정체·이탈로 수익 정체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유료방송 가입자 수·시장점유율 조사에 따르면 2023년도 하반기 기준 국내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3631만106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상반기(3634만7495만명) 대비 3만7389명 감소한 수치다. 유료방송 가입자 수가 줄어든 건 2015년 하반기 조사 이후 처음이다.

하 교수는 "글로벌 OTT의 국내 방송시장 잠식 현상은 수 년 이내 국내 채널사업과 유료방송사업의 쇠퇴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며 "글로벌 스트리밍 사업자가 방송시장을 독점할 경우 방송채널시장의 종속화 뿐만 아니라 문화의 왜곡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글로벌 OTT의 공세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OTT 강세에 지상파 재송신료 인상까지…케이블TV '이중고'

OTT 시장 지배력이 확산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레거시 유료방송인 케이블TV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3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케이블TV MSO(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방송 부문 영업이익률은 2018년 12.6%, 2019년 11.1%, 2020년 5%, 2021년 2.5%, 2022년 1.2%로 누적 11.4%p 하락했다. 영업이익은 약 2000억 원 이상 감소했다.

채널에 대한 평가나 재송신료 지급에 대한 기준 없이 유료방송 생태계를 파괴할 수준의 재송신료 인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게 케이블TV 측의 주장이다. 이날 토론자로 참여한 이중희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부회장은 "지상파재송신료는 산정 방식에 대한 객관적인 룰이 없고 단 한 번도 인하된 적이 없다"며 "학계에서도 재송신료 산정을 위한 여러 모델을 내놓았으나 잘 수용되지 않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8VSB 상품에 대한 도입 목적을 고려해 재송신료 면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8VSB는 아날로그 케이블 가입자가 셋톱박스 없이도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저가에 볼 수 있도록 도입된 복지형 상품이다. 그는 "2022년 8VSB 상품 ARPU는 2515원으로 지상파 3사에 재송신료를 1500원 주고 나면 나머지 100여 개 PP에서 줄 콘텐츠사용료가 없다"고 토로했다.

김용희 경희대학교 교수는 지상파 콘텐츠 영향력이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지상파 재송신 대가가 과도하게 책정돼 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합리적 기준 없이 협상력 우위에 있는 사업자들이 일방적 인상을 요구하는 양상을 보인다"며 "지상파는 공적 책무 관련 사회적 가치 창출 수준이 타 방송사 대비 저조해 공영방송의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로고. [사진=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로고. [사진=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레거시 유료방송 위기 공감되지만…"콘텐츠 경쟁력 강화 방안 모색 필요"

소비자단체는 유료방송 위기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10·20세대 소비자들이 TV를 찾지 않는 현상에 주목했다.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유료방송이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결국 스스로 변화해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며 "50대 이상되는 분들은 대형TV를 선호하지만, 저희 아들만 하더라도 TV를 전혀 찾지 않는다. TV 자체를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은 휴대폰 하나로도 충분하다고 이야기한다. 10대, 20대의 시청 변화를 관찰하면 10년 후에는 (시청 문화가) 굉장히 달라질 것"이라며 "콘텐츠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발전적인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콘텐츠 발전과 다양성은 궁극적으로 소비자 후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사무총장은 PP(방송채널사업자)의 수가 과도하게 많다고도 했다. 그는 "동일한 방송이 몇 개 채널에서 똑같이 나올 때가 있다. PP의 수가 많지만 지상파, 홈쇼핑, 종편 등을 제외하고 나면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PP가 과연 몇 곳이나 될지 의문"이라며 "콘텐츠 차별 전략이 없다면 소비자들은 외면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유료방송 생태계 조성 방안' 세미나에서 전문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안세준 기자]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유료방송 생태계 조성 방안' 세미나에서 전문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안세준 기자]

◇프로그램 사용료 배분 갈등 지속…"집안 싸움 끝내고 상생 나서야"

국내 유료방송 업계의 경우 미디어 사업을 둘러싸고 유료방송 플랫폼과 콘텐츠 사업자간 프로그램 사용료와 송출수수료를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주정민 전남대 교수는 이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글로벌 OTT로 인해 시장이 잠식된 상황이다. 한 집안에서의 싸움을 멈추고 상생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주 교수는 주장했다.

그는 "글로벌 OTT 사업자들이 우리나라 시장을 잠식하게 되면서 국내 방송산업이 점점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면서도 "사업자간 갈등 문제였던 프로그램 사용료 배분 문제를 놓고 갈등이 있는데 이를 시급하게 해결해야 한다. 글로벌 사업자와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마치 집안 싸움하 듯 갈등을 겪고 있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이어 "갈등의 핵심은 프로그램 사용료를 어떻게 책정할 것인지, 배분을 어떻게 할 것인지다. 그동안 객관적인 기준이라던지 과학적인 가치 산정에 기반하지 않고 협상력에 의해 결정됐기 때문에 소송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객관적인 평가에 기초해 비율을 조정하는 문제가 굉장히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안세준 기자(nocount-ju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넷플릭스 천하'의 민낯…"韓 유료방송 시장 잠식 위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