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지금은 기후위기] 폭염의 극단현상→생명 위협한다


WMO “폭염 관련 건강조기경보시스템, 매우 중요해”

WMO는 앞으로 극단적 폭염이 인류 건강에 치명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진=WMO]
WMO는 앞으로 극단적 폭염이 인류 건강에 치명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진=WMO]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전 세계는 기록된 역사상 어느 시점보다 현재 빠른 속도로 가열되고 있다.

기후변화는 대기 질, 수질, 식량 안보, 경제, 생계, 의료에 대한 형평성과 접근성은 물론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지원 구조 등 건강 결정 요인을 약화시킨다.

기후변화 영향은 동등하게 경험되지 않는다는 데 있다. 기후변화로 미래 초과 사망률의 50%는 아프리카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 보호를 위해서는 의사결정과 행동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고품질의 기후 정보가 필요하다.

극한 기후와 변화하는 의료 시스템이 언제 어떻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더 잘 이해하고 관리해야 하는 이유이다. 예컨대 지구 기온이 상승하면 뎅기열, 말라리아 등 전염병이 확산되는데 이에 대한 대책을 미리 마련할 수 있다.

폭염은 모든 극한 날씨 중에서 가장 큰 사망으로 이어진다. 반면 폭염 경고 서비스는 전 세계 절반 국가의 보건 의사 결정자에게만 제공되고 있다. 여기에 기후에 기반을 둔 폭염 건강 조기 경보 시스템을 갖춘 국가는 26개국에 불과하다.

기후위기 시대도 불평등하게 펼쳐지고 있다. 폭염 등 극단적 기후현상이 전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불평등한 시스템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아프리카와 남미 등 가난한 나라들에 더 큰 위험성으로 다가오고 있다.

제대로 된 조기경보시스템이 부족하거나 아예 갖춰져 있지 않으면서 극단적 기후현상에 따른 피해가 이들 ‘가난한 나라’에 집중되고 있다. 지구 가열화를 불러온 온실가스 배출은 유럽과 미국 책임이 가장 큰데 그 피해는 다른 나라가 겪고 있는 셈이다.

올해 열리는 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28)는 이 같은 기후변화 원인제공에 따른 선진국들의 책임 부분에 이슈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손실과 피해 대응에 따른 선진국의 부담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WMO는 앞으로 극단적 폭염이 인류 건강에 치명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진=WMO]
기후변화로 미래 초과 사망률의 50%는 아프리카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WMO]

세계기상기구(WMO) 측은 최근 ‘2023 기후서비스 상태 보고서’를 통해 “역사상 전 지구촌이 빠르게 더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인류의 건강 문제가 최전선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WMO의 기후서비스 연례 상태 보고서는 이 같은 기후위기에 따른 건강에 초점이 맞춰졌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올해 전 세계는 폭염을 경험했다”며 “올해 발달하고 있는 엘니뇨(태평양 적도 부근 해수 온도 비정상적 상승) 영향으로 앞으로 기온이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륙과 해양에 더 극심한 폭염이 찾아올 수 있다는 거다.

앞으로 전망도 좋지 않다. 중대형 재해는 2030년까지 연간 560건, 매일 1.5건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조기경보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나라는 더 큰 피해가 점쳐지고 있다. 특히 앞으로 폭염은 2027년까지 더 극심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따른 건강 영향 분석,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등은 뒤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은 더욱 강렬하고 빈번해지는 극한 기온, 사이클론, 폭풍, 홍수, 가뭄과 산불 부상, 질병과 사망으로 미래의 건강 위험이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2050년까지 기후변화로 인한 초과 사망률의 50% 이상이 아프리카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폭염에 따른 영향력은 나이가 많을수록 증가했다. 관련한 한 보고서를 보면 기온 상승과 65세 이상 인구 증가로 인해 2000~2004년과 비교했을 때 2017~2021년에 65세 이상의 폭염 관련 사망률이 약 68%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 추정치를 보면 연간 약 48만9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분석됐다. IPCC 보고서에서는 1.5°C 기준으로 2100년까지 폭염 관련 사망률 측면에서 중남미, 남부 유럽, 남부와 동남아시아, 아프리카가 기후변화의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런 실정임에도 폭염 경보시스템을 갖춘 나라는 전 세계 2개 국가 중 1개에 불과했고 폭염 건강 조기 경보 시스템을 갖춘 국가는 26개국에 머물고 있다.

WMO 측은 “기후정보와 서비스는 극한 기후와 변화하는 기후로 인해 의료 시스템과 인구 건강이 언제 어떻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더 잘 이해하고 기후 관련 위험을 관리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지금은 기후위기] 폭염의 극단현상→생명 위협한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샤이니 키, 물오른 아이돌 비주얼
샤이니 키, 물오른 아이돌 비주얼
샤이니 키-재재, 거울 보는 것 같은 착장
샤이니 키-재재, 거울 보는 것 같은 착장
샤이니 키 솔로 정규 3집 컴백, 여름엔 호러다!
샤이니 키 솔로 정규 3집 컴백, 여름엔 호러다!
'빨강머리 키'
'빨강머리 키'
전소미, 핀업 걸 매력
전소미, 핀업 걸 매력
전소미, 마이크로 핫팬츠 블랙 각선미
전소미, 마이크로 핫팬츠 블랙 각선미
전소미, 짜릿한 컴백!
전소미, 짜릿한 컴백!
전소미, 바비인형 S라인
전소미, 바비인형 S라인
'웬즈데이2' 에마 마이어스, 러블리 늑대소녀 이니드
'웬즈데이2' 에마 마이어스, 러블리 늑대소녀 이니드
'웬즈데이2' 제나 오르테가, 세상에서 가장 시크한 하트
'웬즈데이2' 제나 오르테가, 세상에서 가장 시크한 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