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두산퓨어셀, 남부발전·삼성물산과 청정수소 연료전지 개발


연료전지 연계 CCU 개발·암모니아 연료전지 실증 공동추진

[아이뉴스24 안수연 기자] 두산퓨얼셀이 청정수소 연료전지로의 전환을 위해 초격차 기술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업무협약식이 끝나고 두산퓨얼셀 제후석 부사장(왼쪽 세번째)이 삼성물산 건설부문 이병수 부사장(왼쪽 첫번째), 한국남부발전 심재원 사업본부장(왼쪽 두번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영철 연구단장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두산퓨어셀]
업무협약식이 끝나고 두산퓨얼셀 제후석 부사장(왼쪽 세번째)이 삼성물산 건설부문 이병수 부사장(왼쪽 첫번째), 한국남부발전 심재원 사업본부장(왼쪽 두번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영철 연구단장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두산퓨어셀]

두산퓨얼셀은 3일 동대문 두산타워에서 한국남부발전, 삼성물산 건설부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청정수소 연료전지 개발·전환'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청정수소 인증제, 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CHPS) 등 국내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연료전지 연계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CCU) 개발 ▲기존 수소 연료전지를 블루·그린수소 연료전지 전환 ▲암모니아 연료전지 실증사업 공동협력 등이 주요 내용이다.

수소는 생산방법에 따라 크게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그린수소로 나뉜다. 그레이수소는 현재 생산되는 수소의 약 96% 비중을 차지한다. 주로 천연가스를 개질해 생산한다. 석유화학 관련 회사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부생수소도 그레이수소다.

여기에 CCU 기술을 활용하면 블루수소로 인정받는다.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에서 나오는 전력으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하는 그린수소의 생산 단가가 아직 높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배출이 거의 없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블루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두산퓨얼셀은 에너지연과 연료전지 연계 CCU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한국남부발전과 해당 기술을 적용한 블루수소 연료전지 실증을 진행한다. 실증이 끝나면, 기존에 설치한 수소연료전지를 블루수소 연료전지로 교체한다.

아울러 두산퓨얼셀은 암모니아 연료전지 실증사업에도 참여한다. 암모니아는 영하 33도에서 액화할 수 있고 수소에 비해 부피도 작기 때문에 1.5배가량 더 많은 양을 운송할 수 있다.

두산퓨얼셀은 암모니아 연료전지를 개발하고,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해외에서 암모니아를 도입한다. 한국남부발전은 암모니아 연료전지 실증 부지 제공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형락 두산퓨얼셀 사장은 "이번 MOU를 통해 정부의 청정수소 정책에 적극 부응하고, 초격차 기술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청정수소 연료전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수연 기자(you9300@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두산퓨어셀, 남부발전·삼성물산과 청정수소 연료전지 개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