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믿고 사는 서울 아파트"…1Q 외지인 서울 주택 매입비중 30%


지난 2006년 이래 1Q 기준 역대 가장 높은 비중

[아이뉴스24 김서온 기자] 올해 1분기(1~3월) 서울 주택 매매 10건 중 3건은 외지인이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선 여전히 주택 공급 부족 현상이 해결되지 않았고, 서울 집값은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학습효과로 외지인 주택 매입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분위기다.

18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매매 거래현황을 살펴본 결과 올해 1분기(1~3월)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 1만4천544건 중 외지인이 매입한 거래량은 4천406건으로 집계됐다.

외지인 매입비중은 30.3%로,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지난 2006년(1분기 기준) 이래 역대 가장 높은 비중이다.

2006년~2202년 1분기 외지인의 서울 주택 매입비중. [사진=경제만랩]
2006년~2202년 1분기 외지인의 서울 주택 매입비중. [사진=경제만랩]

올해 1분기 서울에서도 외지인 매입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용산구'로 확인됐다. 올해 1~3월 용산의 주택 매매거래량 282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외지인이 매입한 거래량은 111건으로 외지인 매입비중이 39.4%다.

이어 ▲금천구 39.3% ▲강서구 39.0% ▲송파구 38.1% ▲양천구 37.3% ▲서초구 35.3% ▲영등포구 35.3% ▲도봉구 32.6% ▲강북구 32.5% ▲관악구 31.4% 등으로 집계됐다.

윤석열 정부가 지난 10일 출범과 동시에 1년간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를 유예하기로 하면서 주택 매물이 늘어나고 있지만, 서울 주택의 똘똘한 한 채의 선호도는 여전해 외지인들의 주택 매입비중 상승세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서울을 거주하지 않는 타 지역거주자와 다주택자들이 외곽 지역의 주택을 처분하고, 고가의 서울 주택 한 채를 택하는 '똘똘한 한 채' 선호현상이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지역간 주택 가격 격차가 벌어지는 양극화도 더욱 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서온 기자(summer@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믿고 사는 서울 아파트"…1Q 외지인 서울 주택 매입비중 30%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