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영상 콘텐츠 육성…"보다 강력한 지원과 투자 필요"


KCA 주최 '방송·미디어 진흥 온라인 세미나'열려…콘텐츠 세분화한 맞춤형 정책 제언

방송·미디어 진흥 온라인 세미나'에서 (왼쪽부터)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 교수, 성동규 중앙대 교수(사회) 고찬수 한국PD연합회장, 임경선 CJENM 국장, 임석봉 JTBC 팀장, 최진호 한양대 연구원, 홍종배 KCA 팀장, 홍원식 동덕여대 교수, 박종구 KOBACO 연구위원이 토론에 참석하고 있다.  [출처=KCA 온라인 세미나 캡쳐]
방송·미디어 진흥 온라인 세미나'에서 (왼쪽부터)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 교수, 성동규 중앙대 교수(사회) 고찬수 한국PD연합회장, 임경선 CJENM 국장, 임석봉 JTBC 팀장, 최진호 한양대 연구원, 홍종배 KCA 팀장, 홍원식 동덕여대 교수, 박종구 KOBACO 연구위원이 토론에 참석하고 있다. [출처=KCA 온라인 세미나 캡쳐]

[아이뉴스24 송혜리 기자] 글로벌 인터넷 영상 서비스(OTT) 파죽지세 공략 속에 국내 영상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 방안 마련에 산학연이 머리를 맞댔다.

이들은 "미디어 플랫폼이 합종연횡하는 현시대에 영상 콘텐츠 제작 지원은 콘텐츠 맞춤형으로 진화해야 한다"면서 '보다 강력한 세재 지원과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는 데 뜻을 같이했다.

17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원장 정한근, KCA) 주최로 '방송·미디어 진흥 온라인 세미나'가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환경 변화와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온라인에서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OTT 플랫폼의 영향력 확대와 오리지널 영상 콘텐츠 제작 증대, 모바일 중심 콘텐츠 소비 증가 등에 대응,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시장을 지원·육성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먼저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 교수는 현재 방송 시장은 다양한 형태로 분화하고 또 새로운 형태로 묶이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를 세분화하고 이의 맞춤 정책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봤다.

일례로 OTT 서비스만 놓고 봤을 때도 전통적인 TV, 영화, 모바일 스트리밍 등 역할을 한꺼번에 수행해 내는 등 방송 시장에선 분화와 다양한 묶음이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이 교수는 방송 영상 콘텐츠 산업 지형 변화에 따른 정책적 지원을 위해 ▲글로벌 경쟁이 심화하는 대규모·웰메이드·IP기반 콘텐츠 ▲중규모·공공성 콘텐츠 ▲소규모·일상 기반 콘텐츠 등 세 가지 형태로 나눠 정책 지원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우선 글로벌 경쟁이 심화하는 대규모·웰메이드·IP 기반 콘텐츠에는 금융 투자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콘텐츠 대형화를 위한 전략적 재원 투입 확대와, 이를 통한 해외 진출을 강화해 방송 영상 콘텐츠 제작 영역의 혁신 주체로 육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 교수는 "방송이 수행하던 사회적 역할, 공공성은 지속할 수 있어야 한다"며 기존 레거시 미디어의 공익성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공공성을 갖는 중규모 콘텐츠에 대해서는 보조금 등 직접 제작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소규모·일상 기반 콘텐츠는 1인 미디어 소비 확대에 따라 활발히 경쟁력을 갖춰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고찬수 한국PD연합회장도 변화하는 방송 시장에서 영상 콘텐츠 제작 활성화를 위해 ▲수익성 확보 분야(K-드라마, K-POP, K-예능) ▲수익 구조 미비 분야(신기술, 공익적 콘텐츠, 지역 콘텐츠) 등으로 지원 대상을 나눴다.

고 PD는 "이미 경쟁력을 갖춰 수익성이 확보된 분야에 대해서는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창작자를 위한 포맷 저작권 권리 강화, 거대 자본 플랫폼 독과점 규제, 창작 의욕을 높이는 제작환경 조성을 위한 관행적 비대칭 규제 철폐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다소 수익성이 미비한 분야를 위한 지원책으로는 공적 자원 투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고 PD는 현행 방송통신발전기금, 정보통신진흥기금을 통합한 정보통신방송발전기금을 신설하자고 주장했다. 이의 재원은 주파수할당대가, 방송사업자 분담금이며 용도는 방송 통신·정보통신에 관한 연구개발 등 지원이다.

반면 홍종배 KCA 팀장은 이성민 교수와 고찬수 PD의 지원 대상 세분화에 대해 반박 의견을 제시했다. 지원 대상을 세분화하는 것은 자칫 또 다른 칸막이화 또는 계층화를 만들 수 있다는 우려다.

홍 팀장은 "이 교수는 '분화'를 고려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지만, 이렇게 꼭 구분할 필요가 있을까 생각했다"며 "이론적으로는 공감하는 부분이나, 현실에서 이렇게 하면 선택과 집중은 가능하지만 사장되는 사업자는 사장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언급한 세 가지 분류를 섞어서, 중소 방송사업자들도 대형 콘텐츠에 시도하는 장르의 전환을 시도할 수 있는 분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사업자들은 정부 세재 지원확대를 당부하는 한편 시장 속도를 따라갈 수 있는 혁신적인 방송·영상 규제 개선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경선 CJENM 국장은 "콘텐츠 사업이야말로 제2의 제조업"이라고 강조하며 정부의 세재 지원을 당부했다.

임 국장은 "제조업의 성장을 국가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영상 콘텐츠 산업이 적임으로 본다"면서 "정부도 제2의 제조업으로 영상 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세재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있기는 하나, 이 산업을 육성하려는 적극적인 의지로 보기엔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어 "3, 5, 7% 등 사업자 규모별 세액 공제율이 있긴 하나, 최대 30%까지 공제해주는 해외 사정과 너무 비교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임석봉 JTBC 팀장은 '콘텐츠 대가의 합리적인 산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임 팀장은 "현재 국내 콘텐츠 시장 육성을 위해서는 시장 확대와 판매 단가 인상 등을 주목할 수 있는데 우선 현재 판매되는 콘텐츠의 대가가 얼마나 합리적인지 생각해 볼 수 밖에 없다"며 "넷플릭스만 봐도 결국 한국 드라마를 통해 동남아시아 진출 문을 열려는 진출 전략을 취하고 있고, 우리가 얼마나 이의 가치를 받아 낼 것인가 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임 팀장은 "방송사 입장에서 규제는 다가온 현실이고, 정부가 말하는 규제 완화는 다가올 미래"라며 시장 속도를 반영한 방송 광고, 편성, 제작, 내용 등의 규제 혁신을 당부했다.

학계에서도 정부의 영상 콘텐츠 제작 지원 정책 방향에 대한 지적이 이어졌다.

홍원식 동덕여대 교수는 "영상 콘텐츠 지원 정책은 그간 보완재 역할에만 머물렀다"며 "이는 영상 콘텐츠 제작사 95%가 영상기업이고 생겼다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있는 상황이 반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의 영상 콘텐츠 제작 지원 방식은 단발적이고 순환적"이라며 "여러 제작사에 재원을 나눠주는 현재 방식으론 대형 제작사 발현 기대하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최진호 한양대 연구원은 간접 지원 체계를 보다 세분화해 시장 목소리를 충분히 고려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 연구원은 "기획, 인큐베이팅, 인력 양성, 제도 개선 등 간접 자원 지원 요구 목소리를 듣고, 체계를 세분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본다"고 제언했다.

송혜리 기자 chewoo@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영상 콘텐츠 육성…"보다 강력한 지원과 투자 필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