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카카오톡-라인 이용자수 정체, 돌파구는?


이용자 증가 둔화돼 부가 서비스 늘려

[아이뉴스24 민혜정 기자] 네이버와 카카오의 모바일 메신저 이용자 수가 정체 국면을 맞았다.

스마트폰 가입자가 포화되면서 모바일 메신저 업체들도 이용자 확보가 어려워진 셈이다.

16일 카카오에 따르면 카카오톡의 2분기 월 활성 이용자 수(글로벌 기준, MAU)는 5천11만3천명으로 전기와 비교해 0.4% 줄었다. 전년 동기에 비해선 1.7% 증가했다.

같은 기간 네이버 모바일 메신저 라인 MAU(주요 4개국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기준)는 1억6천400만명으로 전기비 0.6%, 전년 동기에 비해 2.9%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폰이 포화되면서 이용자 기반을 넓히는게 어려워졌다"며 "또 이용자들의 주 모바일 메신저가 고착화되면서 이용자를 유치하는게 쉽지 않아졌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두 회사는 이용자의 메신저 체류 시간을 늘리고 가입자당 수익을 확대하기 위해 지속해서 부가 서비스를 늘리고 있다.

카카오는 오는 9월 자회사 카카오M과 합병 후 멜론을 카카오톡에 전면 배치할 계획이다. 멜론과 카카오톡 시너지를 노린다는 전략이다.

이미 카카오톡에선 송금, 선물하기, 배달주문, 영화예매 등이 가능하다.

라인은 최근 전용 앱 설치를 하지 않아도 공식 계정 상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라인 퀵 게임'을 선보였다.

라인은 지난 6월부터 일본에서 여행서비스 '라인트래블'도 시작했다. 이는 라인 앱 실행 만으로 인기 여행 사이트나 여행사 및 항공사 사이트에서 저가 호텔 투어 및 항공권 등을 검색, 예약, 비교할 수 있는 서비스다.

다만 이같이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이용자들 사이에선 실행시간이 느려지는 등 앱이 무거워진다는 불만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다양한 서비스가 모바일 메신저에 적용되면서 앱이 무거워지고 있다는 지적이 많지만 수익적인 면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용자 편의를 고려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혜정기자 hye555@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카카오톡-라인 이용자수 정체, 돌파구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농어업고용인력 지원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 본회의 가결
농어업고용인력 지원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 본회의 가결
이은지 '끼 폭발 매력 폭발 대세 예능인'
이은지 '끼 폭발 매력 폭발 대세 예능인'
곽준빈 '빵 먹는 포즈 아니에요'
곽준빈 '빵 먹는 포즈 아니에요'
추성훈 '몸매부터 패션인 아조씨'
추성훈 '몸매부터 패션인 아조씨'
추성훈의 밥값은 해야지 '현지 밀착 리얼 생존 여행기'
추성훈의 밥값은 해야지 '현지 밀착 리얼 생존 여행기'
유재필 '깔끔한 진행'
유재필 '깔끔한 진행'
동료 의원들과 인사하는 주진우
동료 의원들과 인사하는 주진우
의총에서 발언하는 송언석 원내대표
의총에서 발언하는 송언석 원내대표
국회의장 주재 여야 원내대표 회동
국회의장 주재 여야 원내대표 회동
여야 원내대표 회동
여야 원내대표 회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