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실버·청소년 요금제 비싸다? 업계 "억지 비교"반박


한국소비자원 개선 요구에, 단순 비교로 지나친 해석 주장

[조석근기자] 이통 3사의 실버(노인), 청소년 요금제의 음성통화, 데이터량이 실제 사용량보다 적어 일반요금제보다 오히려 불리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통신업계는 이용패턴, 약정 등 계약 내용 등을 반영하지 않은 단순 비교로 '지나친 해석'이라는 입장이다.

28일 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KTOA)는 "청소년 및 실버 요금제는 사회적 약자층에 대한 지원 차원에서 동일 계열의 일반 요금제 대비 낮은 요금 수준과 더 많은 혜택들을 제공 중"이라며 한국소비자원의 주장을 반박했다.

이날 소비자원은 이통 3사의 실버, 청소년 요금제 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음성통화 및 데이터 기본량이 이들의 평균 사용량보다 적다고 발표했다. 이들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요금제보다 더 많은 비용을 물게 돼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

소비자원에 따르면 60대 이상 스마트폰 이용자 4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2.79GB이나 이통 3사의 실버 요금제 데이터 기본 제공량은 이에 크게 못미치는 200MB~1.2GB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또 13~19세 청소년 432명 대상 조사 결과에서도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6.49GB인 데 반해 이통 3사의 청소년 요금제 데이터량은 많아야 3GB라는 것. 노인과 청소년의 음성통화 평균사용량 역시 각각 163분, 109분이지만 무료통화 이후 과금을 감안하면 일반요금제보다 오히려 비싸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KTOA는 이에 대해 "평균 사용량에는 각종 옵션 상품을 통한 부가데이터 사용 및 무료로 이용 가능한 와이파이(WiFi) 이용도 포함된다"며 "실제 이용자가 부담하는 정확한 평균 사용량과 차이가 존재한다"고 비교 기준에 문제가 있다고 반박했다.

실제로 이통 3사의 실버, 청소년 요금제 기본요금은 2년 약정 기준 일반 데이터 요금제와 비교할 경우 실버 요금제가 9천300~2만1천원 가량, 청소년 요금제는 1만3천~2만4천원 가량 저렴한 수준이다.

또 청소년 요금제의 경우 기본 할당량 소진 시 음성통화가 일반요금제의 초당 1.8원보다 높은 2.5원이 적용되는 등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는 소보원 측 주장에 대해서도 기본제공량 자체가 다른 일반 요금제보다 많다는 입장이다.

예를 들어 SK텔레콤의 청소년 요금제 'LTE팅52'의 경우 'LTE52' 요금제보다 기본제공 데이터에서 0.4GB 더 많다. KT의 'Y틴38' 요금제의 경우 상응하는 일반요금제 '데이터선택 38.3'에 비해 3.5GB의 데이터가 더 주어진다. 속도를 2Mbps로 제어할 경우 데이터 제공량의 2배까지 사용할 수 있다.

KTOA 관계자는 "계층별 요금제 특징은 단순히 저렴한 요금수준이나 더 많은 제공량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사용패턴에 맞게 안심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 목적"이라며 "실버 계층의 경우 동영상, 대용량 파일보다 SNS, 음성/영상 통화 중심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혜택 제공이 바람직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요금이나 제공량 등을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것보다 사업자별 특화계층 요금제 등 차별화된 서비스 경쟁을 통해 사회적 약자층에 대해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다양한 요금제와 혜택을 개발하고 자율 출시할 수 있는 사업환경 조성이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조석근기자 feelsogood@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실버·청소년 요금제 비싸다? 업계 "억지 비교"반박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