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숙기자] '4.16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 여당 추천위원 5명이 특조위 비공개 상임위원회에서 세월호 사고 당일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 등에 대한 조사 방침을 확정한 데 반발, '전원 총사퇴'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는 '특조위가 청와대 관련 조사를 개시할 경우 여당 추천위원들이 전원 사퇴 의사를 표명한다' 등의 내용이 담긴 해양수산부 내부 지침 문건이 언론을 통해 공개된 직후여서 논란이 예상된다.
19일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은 해양수산부의 '세월호 특조위 관련 현안 대응방안' 문서를 입수, 공개했다. 문서에는 '특조위의 BH(청와대) 조사 건 관련 : 적극 대응', '여당 추천위원들이 소위 의결 과정 상 문제를 지속 제기하고 필요시 전원 사퇴 의사 표명'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다.
문건은 또 '(국회 농림축산해양식품위원회) 여당 위원들이 공개적으로 특조위에 소위 회의록을 요청하고 필요시 비정상적·편향적 위원회 운영을 비판하는 성명서를 발표한다'고 적시하고 있다.

실제로 특조위 여당 추천위원들과 농해수위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청와대 조사의 부당성을 주장했다.
특조위 여당 추천위원들은 야당 및 유가족 추천위원들을 겨냥해 "지금까지의 정황을 볼 때 처음부터 대통령의 행적을 조사하기 위해 치밀한 각본대로 움직였다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진상조사에는 관심이 없고 대통령 행적 조사 등 엉뚱한 짓거리에만 골몰하는 결의를 한다면 더 이상 특조위에 머물 수 없다"며 "여당 추천위원 전원은 즉각 사퇴도 불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해양수산부와 사전에 논의를 거쳤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전혀 그런 것 없다"고 일축했다. '내부 지침' 문건에 대해서도 "그런 것 모른다"고 잘라 말했다.
새누리당 문정림 원내대변인과 농해수위 소속 의원들도 기자회견을 갖고 "대통령의 7시간은 지난해 7월 세월호특위 국정조사 등을 통해 이미 밝혀진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특조위가 이를 재조사하겠다는 것은 무분별한 정치공세"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원유철 원내대표 역시 당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세월호 참사 원인을 조사하라고 했더니 청와대를 조사하려고 한다"며 "대통령에 대한 조사 착수는 정치적 중립성 의무를 위반하는 것으로 특조위의 일탈과 월권이 도를 넘었다"고 비난했다.
동시에 새누리당은 특조위 운영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문 원내대변인은 "특조위 활동기간 연장의 정당성을 확인해 봐야 한다", "특조위 위원장이 본인 입맛에 맞는 인사로 밀실 채용 압력을 행사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새누리당의 움직임은 필요시 '비정상적·편향적 위원회 운영을 비판한다'는 문건의 내용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향후 논란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