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제약협회 "한미 FTA 피해보상 정책 마련해야"


[정기수기자] 제약협회는 22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이 국회를 통과한 것과 관련, "제약산업은 한미 FTA 최대의 피해산업"이라며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 등 시행으로 제약산업의 피해가 불가피한 만큼 보상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는 이어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 관련 법규를 만들 때 제약계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시행령이나 시행규칙을 잘 정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 제도는 오리지날약의 특허권이 존속하는 기간 내에 국내 제약사가 제네릭의 제조·시판 허가를 신청하는 경우, 식약청이 특허권자에게 이를 통보하게 함으로써 특허권 침해여부를 사전에 판단하게 해 문제가 없을 경우 허가를 해 주는 제도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신약의 특허권이 강화돼 오리지날약을 다수 보유한 다국적 제약사는 유리해 지고, 국내 제약사들은 주력품목 중 비중이 높은 제네릭(복제약)의 출시를 제한받게 된다.

제약협회는 또 "한미 FTA와 일괄 약가인하로 제약산업이 어려움에 처했다"며 "일괄 약가인하 제도를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한미 FTA 발효 이후 국내 제네릭 의약품 생산은 향후 10년간 연평균 686억~1천197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장 위축에 따른 소득 감소 규모도 457억~797억원 수준에 달할 전망이다.

하지만 제약업계는 이보다 더 큰 손실을 입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제약협회는 2007년 한미 FTA 타결로 인한 관세철폐, 특허연장 등의 영향으로 제약업계의 매출 손실 규모가 연간 1천400억~4천9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정기수기자 guyer73@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제약협회 "한미 FTA 피해보상 정책 마련해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서현진, 수줍은 S라인
서현진, 수줍은 S라인
이수지, 경호원에 에스코트 받는 '수지 공주'
이수지, 경호원에 에스코트 받는 '수지 공주'
주지훈, 볼하트 할까 말까
주지훈, 볼하트 할까 말까
차주영, 글래머 인어의 레드카펫 워킹
차주영, 글래머 인어의 레드카펫 워킹
추성훈, 이거 유튜브각인데?
추성훈, 이거 유튜브각인데?
윤소희, 순백의 청순 미모
윤소희, 순백의 청순 미모
정현규, 데블스 플랜2 우승자의 하트 플러팅
정현규, 데블스 플랜2 우승자의 하트 플러팅
추영우, 인기가 얼떨떨한 대세남
추영우, 인기가 얼떨떨한 대세남
박은빈, 별빛이 내린다
박은빈, 별빛이 내린다
혜리, 치명적인 그녀
혜리, 치명적인 그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