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암 환자 생존율, 4년 후 67%까지 높인다


복지부, 제2기 암정복계획 수정안 의결…관리대책 강화

[정기수기자] 정부가 암 치료 후 5년간 생존할 확률인 '암생존율'을 당초보다 상향 조정해 오는 2015년까지 67%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번 목표치 상향조정은 지난 2006년 수립한 제2기 암정복 10개년 계획의 중간 평가 결과, 기존 목표를 초과 달성한 데 따른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국가암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암생존율'의 2015년 정책목표를 기존 54%에서 67%로 상향조정한다고 25일 발표했다. 또 암사망율도 인구 10만당 94명에서 88명으로 조정키로 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암생존율은 59.5%로 2005년(50.8%)보다 17.1%가량 개선됐으며, 2008년 인구 10만명 당 암사망률은 103.8명으로 2005년 112.2명보다 7.5% 감소했다.

성인남자 흡연율은 2005년 51.6%에서 2009년 46.9%로 9.1% 낮아졌고 전 국민 암검진수검률은 같은 기간 40.3%에서 53.3%로 32.3% 증가했다. 암환자 의료비수혜자는 2만8천명에서 5만4천명으로 92.9% 늘었다.

복지부는 지속적인 암관리정책의 추진, 의료기술 발전 등으로 정책목표를 포함한 다수의 지표가 개선된 것으로 추정했다.

이번 수정안이 그대로 이행되면 암생존율은 2005년 50%에서 2015년에는 67%로 개선되며, 암사망률은 2005년 인구 10만명 당 112명에서 2015년 88명으로 21%가량 개선된다.

복지부는 상향조정된 목표의 달성을 위해 암예방인지율과 암검진 수검률을 높이고 항암신약개발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성인남자 흡연율을 2015년까지 35% 이하로 줄이고, 대상자별 특화된 금연 프로그램을 개발해 성인여자 흡연율도 6.5% 이하로 낮출 계획이다.

또 보건소와 지역암센터간 검진 인프라 등을 활용해 2015년까지 국가암검진 수검률을 55%까지 향상시키고, 글로벌 항암신약개발을 위해 국가 주도의 재원 투자와 임상시험 실시도 지원할 예정이다.

이밖에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암정보를 제공해 암예방 인지율을 60%까지 높이고 암 발생과 치료, 사망에 이르는 암 정보를 통합해 국가암감시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한편, 복지부가 시행하는 '암정복 2015 : 제2기 암정복 10개년계획'은 2006년부터 2015년에 걸쳐 종합적인 암관리를 통해 사망률을 최소화함으로써 암부담을 줄이기 위한 암관리종합계획이다.

/정기수기자 guyer73@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암 환자 생존율, 4년 후 67%까지 높인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서현진, 수줍은 S라인
서현진, 수줍은 S라인
이수지, 경호원에 에스코트 받는 '수지 공주'
이수지, 경호원에 에스코트 받는 '수지 공주'
주지훈, 볼하트 할까 말까
주지훈, 볼하트 할까 말까
차주영, 글래머 인어의 레드카펫 워킹
차주영, 글래머 인어의 레드카펫 워킹
추성훈, 이거 유튜브각인데?
추성훈, 이거 유튜브각인데?
윤소희, 순백의 청순 미모
윤소희, 순백의 청순 미모
정현규, 데블스 플랜2 우승자의 하트 플러팅
정현규, 데블스 플랜2 우승자의 하트 플러팅
추영우, 인기가 얼떨떨한 대세남
추영우, 인기가 얼떨떨한 대세남
박은빈, 별빛이 내린다
박은빈, 별빛이 내린다
혜리, 치명적인 그녀
혜리, 치명적인 그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