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450㎜ 반도체웨이퍼 표준경쟁 '점화'


미·일·대만 맞서 한국도 표준기구 설립…"끌려가지 않을것"

오는 2010년대에 반도체 제조용으로 활발히 쓰일 것으로 예상되는 450㎜ 크기 웨이퍼와 관련 국가별 표준경쟁이 불붙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메모리반도체 최강국으로 반도체용 부품·장비·재료의 주요 소비국이었음에도, 웨이퍼 표준화 경쟁에 밀려 적잖은 비용을 해외기업들에 내줬다. 이에 따라 정부와 업계는 300㎜에 이은 450㎜ 웨이퍼 표준화에선 해외국가를 압도하며, 국내 장비·재료 기업들의 성장을 돕기로 했다.

29일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최근 삼성전자에서 450㎜ 웨이퍼 표준화 경쟁에 합류하자는 제안을 해와, 정부와 업계 및 관련 기관이 표준화 기구를 설립하는 등 해외기구들의 경쟁대열에 적극 동참키로 했다"고 밝혔다.

웨이퍼는 반도체를 찍어내는 실리콘 원판으로, 지난 1990년대 지름 200㎜에 이어 2000년대 들어 300㎜ 크기 웨이퍼가 반도체 제조에 널리 쓰이고 있다. 향후 450㎜를 도입하면 웨이퍼 1장에서 생산하는 반도체 수를 300㎜보다 2.5배 늘릴 수 있게 된다.

450㎜ 웨이퍼에서 우리나라가 형태 및 두께, 각종 특성 부문과 관련 표준화를 주도하게 되면 메모리반도체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국내 부품·장비기업들이 국내외에 납품을 하는데 크게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한국 '강건너 불구경' 이제그만…표준경쟁 대열 적극동참

200~300㎜ 웨이퍼가 도입됐던 지난 20여년 동안 우리나라의 표준화 활동은 전무하다시피 했다. 우리가 잘하는 메모리반도체의 장비·재료 소비율이 전체 반도체의 60%에 달하지만, 웨이퍼 표준화 경쟁에 뒤처지면서 국산 제품들의 경쟁력 역시 뒤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지난 2007년 기준 한국은 메모리반도체 점유율에서 43.1%로 1위를 지켰다. 반면 장비·재료 점유율은 9.6%에 그쳐 일본(41.2%), 미국(35.1%)에 크게 밀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와 업계, 학계, 연구단체들은 오는 8월 중 표준화 협의체(KSSA)를 구성, 역대 최초로 업계 공동의 표준화 전략을 추진키로 했다. 450㎜ 웨이퍼 관련 국제 표준을 선점해 새로운 장비·재료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는 한편, '300㎜ 프라임' 전략으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300㎜ 웨이퍼 관련 장비·재료의 표준화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한국이 450㎜ 웨이퍼 관련 표준화 및 특허 등록을 주도하게 되면 해외 장비·재료 기업들을 견제하는 한편, 국내 기업들이 지금까지 미미했던 반도체 장비·재료 분야 점유율을 450㎜에서 크게 확대시킬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삼성전자, 하이닉스반도체 등 대기업들의 반도체 공장이 대거 들어서 있어 업계 공동의 표준화 작업이 다른 나라보다 수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경부 반도체디스플레이과 문상민 사무관은 "반도체 표준화는 힘 있는 기업들이 관철시키는 대로 움직이기 마련"이라며 "지금까지 인텔, 도시바 등이 웨이퍼 표준화를 주도했지만, 450㎜에선 우리나라 기업들이 표준화 및 특허 등록에 적극 나섬으로써 주도권을 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국가별 450㎜ 표준화 경쟁 '전쟁터' 방불

과거 300㎜ 웨이퍼 표준화를 주도했던 일본과 미국을 비롯해 해외에선 이미 450㎜ 웨이퍼 표준화 작업에 뛰어든 상태다.

일본에선 업계가 자금을 대고 정부가 결합한 '반도체첨단테크놀로지(SELETE, 셀레트)'가 450㎜ 장비, 비메모리반도체 연합체인 'ESG-J'는 소자 관련 표준화에 나서고 있다. 미국에서도 연방정부가 주도하고 각국 반도체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는 '반도체연구컨소시엄(SEMATECH, 세마텍)'이 450㎜용 장비, '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세미)'가 재료, '반도체기술표준기구(JEDEC, 제덱)'는 소자 관련 표준화 경쟁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 2007년 반도체 장비·재료 점유율이 1.2%로 미미했던 대만에서도 정부와 업계, 연구기관이 결합한 '산업기술연구원(ITRI, 이트리)'이 최근 450㎜ 장비 표준화 주도를 선언했다.

일본은 세계 반도체 장비·재료 표준화를 주도한 경험이, 미국은 현지뿐만 아니라 세계 유수 반도체 기업들을 끌어들여 협력을 공고히 하고 있다는 점이, 대만은 정부 주도로 연구 및 생산시설이 밀집해 있는 클러스터를 활용하고 있다는 게 각각 강점이다.

이러한 경쟁 속에서 메모리반도체 1~2위 기업이 포진해 있는 한국이 450㎜ 웨이퍼 표준화 관련 어느 정도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반도체 장비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우리나라의 웨이퍼 표준화 작업은 미진했지만, 450㎜에선 해외 협의체들과 동일선에서 출발하는 상황이라 시점이 괜찮다"며 "이번 표준화 작업과 함께 국내에서도 매출 1조원 이상 글로벌 장비·재료기업들이 속속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권해주기자 postma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450㎜ 반도체웨이퍼 표준경쟁 '점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수현, 놀라운 9등신 비율
수현, 놀라운 9등신 비율
가비, 퀸 에티튜드
가비, 퀸 에티튜드
배현성, 진지한 악역 눈빛
배현성, 진지한 악역 눈빛
이사배, 블루 홀릭
이사배, 블루 홀릭
최대훈, 거부할 수 없는 '학씨 아저씨'
최대훈, 거부할 수 없는 '학씨 아저씨'
염혜란, 꽃처럼 고운 드레스 자태
염혜란, 꽃처럼 고운 드레스 자태
김민하, 킬힐에 걸린 드레스 '아찔'
김민하, 킬힐에 걸린 드레스 '아찔'
이병헌, 프론트맨 카리스마
이병헌, 프론트맨 카리스마
오마이걸 미미, 유니크한 미니드레스
오마이걸 미미, 유니크한 미니드레스
공승연, 블링 블링
공승연, 블링 블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