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부당이득, 5년간 2조 넘어


부정거래 규모도 대형화·기업형 확대 추세

[아이뉴스24 김다운기자] 최근 5년간 루머 유포, 주가 조작, 미공개정보 이용 등 불공정거래를 통한 부당이득이 적발된 것만 2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금감원이 적발한 미공개정보 이용, 시세조종 및 부정거래 등 자본시장 불공정거래를 통한 부당이득은 총 2조 1천458억원으로 집계됐다.

1천억원 이상의 초대형 특이사건을 제외한 부당이득은 2013년 1천547억원에서 2016년 2천167억원까지 매년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사건당 평균 부당이득 규모도 2013년 22억원에서 2016년 42억원으로 거의 2배가 증가하는 등 사건이 대형화하는 추세다.

허위사실 유포 등을 통한 부정거래의 부당이득은 1조 4천952억원으로 전체의 70%를 차지했으며, 그 외 시세조종 4천391억원(20%), 미공개 정보 이용 2천115억원(10%) 순으로 집계됐다.

사건당 평균 부당이득 규모도 부정거래(73억원)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시세조종(34억원), 미공개(13억원) 순이었다.

특히 부당이득 1천억원 이상 초대형 4개 사건 모두 부정거래이며, 100억원 이상 기준으로 볼 때도 38건 중 22건을 차지하고 있어 부정거래 사건이 대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공정거래 사건의 대형화 추세는 혐의자들이 조직적이면서 기업형으로 불공정거래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부당이득 규모가 큰 무자본 M&A, 허위사실 유포 등을 통한 부정거래 사건 및 기업형 시세조종 사건에 조사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아울러 부당이득 규모가 큰 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일반 시장참여자의 제보가 중요한 조사단서로 활용됐던 점을 감안해, 포상금 지급을 확대하고 제보자의 비밀을 더욱 철저히 보호해 불공정거래 제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김다운기자 kdw@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부당이득, 5년간 2조 넘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특검 출석하는 명태균
특검 출석하는 명태균
김건희 특검 출석하는 명태균
김건희 특검 출석하는 명태균
명태균, 김건희 특검 출석
명태균, 김건희 특검 출석
'에스콰이어: 변호사를 꿈꾸는 변호사들'
'에스콰이어: 변호사를 꿈꾸는 변호사들'
'에스콰이어' 변호사 역 맡은 이학주, 너무 좋은 직업에 광대 승천
'에스콰이어' 변호사 역 맡은 이학주, 너무 좋은 직업에 광대 승천
'에스콰이어' 전혜빈, 강렬한 레드 패션
'에스콰이어' 전혜빈, 강렬한 레드 패션
'에스콰이어' 정채연, 깜짝 하의실종 패션
'에스콰이어' 정채연, 깜짝 하의실종 패션
'에스콰이어' 이진욱X정채연, 변호사 선후배 케미
'에스콰이어' 이진욱X정채연, 변호사 선후배 케미
'에스콰이어' 정채연, 여전한 벚꽃 미모
'에스콰이어' 정채연, 여전한 벚꽃 미모
'에스콰이어' 이진욱, 미남 변호사 프로필 그 자체
'에스콰이어' 이진욱, 미남 변호사 프로필 그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