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현대차, 권문식 사장 경질…"품질논란 책임"


R&D 부문 대폭 '물갈이'…품질경영 강화

[정기수기자] 권문식 현대자동차 사장이 전격 경질됐다. 권 사장은 최근 제네시스 리콜과 싼타페 누수 문제 등 연이어 불거진 품질 논란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난 것으로 파악된다.

11일 현대·기아자동차는 최근 일련의 품질 현안에 대한 책임을 지고 연구개발본부장인 권문식 사장과 설계담당 김용칠 부사장, 전자기술센터장 김상기 전무가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이를 수리했다고 발표했다.

권 사장의 경질은 연구개발본부장에 선임된 지 1년여 만이다. 권 사장은 지난해 10월 미국 내 연비과장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현대케피코·현대오트론에서 현대·기아차 연구개발본부장으로 발탁됐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인사는 미국 연비과장 사태 직후에도 대규모 리콜과 품질논란이 지속되는 데 대한 문책 및 기강확립 차원의 문책성 인사로 보인다"며 "평소 '품질 경영'을 강조해 온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참지 못하고 칼을 빼든 셈"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현대·기아차는 올해 미국 등 주요시장은 물론 내수시장에 이르기까지 리콜 사태 등 품질 논란으로 안팎으로 몸살을 앓아왔다.

미국에서는 지난 4월 브레이크, 에어백 결함 등으로 13개 차종 187만대를 리콜한 데 이어 8월에는 서스펜션 부식으로 쏘나타와 그랜저 24만대를 리콜했다. 최근에는 브레이크 문제로 제네시스 2만여대가 리콜되는 등 악재가 지속됐다. 주력 차종이 모두 리콜을 한 셈이다.

이로 인해 올해 미국 컨슈머리포트가 발표한 '자동차 브랜드 신뢰도 조사'에서 현대차는 작년보다 4계단 하락한 21위, 기아차는 6계단 내려간 16위에 그쳤다. 중국에서도 지난 10월 2만3천여대의 리콜을 진행했다.

내수시장에서도 최근 1년 동안 쏘나타 등 15종 차량 66만2천519대를 리콜했으며, 차량 내부로 빗물이 새는 소위 '수(水)타페' 논란 등으로 품질경영에 적신호가 켜졌었다.

현대·기아차는 후임으로 박정길 전무(현 바디기술센터장)를 설계담당 부사장으로 승진발령하고, 김헌수 상무(현 설계개선실장)를 바디기술센터장으로 전보발령했다. 또 박동일 이사(현 전자설계실장)를 전자기술센터장 상무로 승진발령했다. 권문식 사장의 후임은 따로 선임하지 않았다.

박정길 신임 부사장은 1958년생으로 조선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해 의장설계실장(이사), 설계2실장(이사), 차량개발2센터장(전무), 바디기술센터장(전무) 등을 역임했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이번 인사 조치를 통해 품질경영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표명함과 동시에 R&D 경쟁력 강화에 매진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기수기자 guyer73@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현대차, 권문식 사장 경질…"품질논란 책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