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은행권이 연 최고 6%에 달하는 청년도약계좌 이자 비용을 떠안게 되면서 울상이다. 이미 역마진을 보고 있는 데다 금융당국이 기본 금리를 높이라고 주문하면서 우대금리 조건으로 내건 작은 실속마저 내려놨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최근 은행들에 청년도약계좌와 관련해 기본금리를 높이고 우대금리를 줄일 것을 주문했다.
![은행별 우대금리 조건. [사진=은행연합회]](https://image.inews24.com/v1/51ec1f018ad1b6.jpg)
청년도약계좌는 연 최고 6%의 금리를 지급하지만, 기본금리(3.5%)와 소득 우대금리(0.5%)를 제외한 은행별 우대금리(2.0%)는 조건이 까다롭다는 지적이 있었다.
은행별로 우대금리를 받으려면 36개월 이상 급여 이체, 월 2건 이상 자동 납부는 필수다. 가입 기간 절반 이상은 계열사 카드를 월 30만원 이상 사용해야 하는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하기에 사실상 받을 수 없는 금리라는 지적이 많았다.
그러나 은행들은 이미 역마진 상품으로 손실이 크다며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정책 상품인데 이자 비용은 모두 은행이 부담해 예상 손실만 수천억원이다"라며 "그나마 기존 은행을 이용하는 고객에 혜택을 주고 잠재 고객을 늘리려 우대금리 조건을 내걸었지만, 이마저도 완화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오는 14일 공시하는 최종금리에선 은행별 우대금리 조건이 대폭 완화될 예정이다. 기본금리 인상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 다른 관계자는 "이미 기본금리가 충분히 높다"면서 "기본금리를 높이진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이날 청년도약계좌 협약식에 참석해 은행장들에 협조를 요청했다. 김 위원장은 "미래를 이끌어갈 청년들에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건 가장 의미 있는 사회공헌의 하나"라며 "청년도약계좌의 안착을 위해 (은행장들이) 끝까지 관심과 노력을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