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한덕현 교수 "게임이 전두엽 파괴? 오히려 성장"


"과몰입, 양적규제보다 개인에 맞는 질적 규제 필요"

[이부연기자] 중앙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한덕현 교수가 "게임이 뇌의 전두엽을 파괴한다는 가설은 맞지 않다. 게임을 하면 개인마다 뇌가 반응하는 부분이 다르며, 오히려 특정 기능을 높이기도 한다"고 주장했다.

2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넥슨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NDC13)에서 한 교수는 '게임에 따른 뇌반응 사례'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한 교수는 "두뇌의 전두엽은 사고와 수행력, 측두엽은 기억, 두정엽은 기억의 저장, 후두엽은 2D와 3D의 구분 등 시각을 각각 담당한다"면서 "또한 게임은 시각적 영역의 자극을 크게 증대시키게 되는데, 예를 들면 3D 게임을 많이 하면 평형감각이 증진된다"고 설명했다.

프로게이머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서도 이같은 사실이 증명됐다는 게 한 교수의 주장이다. 게임을 오래한 사람일수록 대뇌의 전두엽 피질이 두꺼워졌으며, 바둑을 오래한 사람과 유사한 수준의 높은 지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

한 교수는 "바둑을 5시간 둘 때는 중독이란 개념을 사용치 않으면서 게임을 5시간 할 때 중독이라고 하는 것은 사회적 통념 때문"이라면서 "게임이 뇌에 어떤 반응을 하는지 정확히 연구해 셧다운제와 같은 양적규제보다 개인에 맞는 질적 규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뇌과학적으로 보면 게임은 뇌에 반복과 변형을 주면서 즐거움, 즉 자극을 유발하는 것"이라면서 "게임이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자극을 주느냐에 따라 등급도 달라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 교수는 2006년 미국 하버드 뇌과학연구소에서 게임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으며 현재 중앙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부연기자 boo@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덕현 교수 "게임이 전두엽 파괴? 오히려 성장"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중증 핵심의료 재건을 위한 간담회
중증 핵심의료 재건을 위한 간담회
'착한 사나이' 류혜영, 건달 집안의 엘리트 막내딸
'착한 사나이' 류혜영, 건달 집안의 엘리트 막내딸
박훈, 나도 '착한 사나이'
박훈, 나도 '착한 사나이'
'착한 사나이' 오나라, 여름 성수기 두렵지 않은 슬림 몸매
'착한 사나이' 오나라, 여름 성수기 두렵지 않은 슬림 몸매
'착한 사나이' 이동욱X이성경, 두근두근 첫사랑
'착한 사나이' 이동욱X이성경, 두근두근 첫사랑
'착한 사나이'로 드라마 데뷔하는 송해성 감독
'착한 사나이'로 드라마 데뷔하는 송해성 감독
'착한 사나이' 이성경, 현실로 나온 자스민 공주
'착한 사나이' 이성경, 현실로 나온 자스민 공주
이동욱 '착한 사나이'
이동욱 '착한 사나이'
배경훈 인사청문회에서 '최민희 독재 OUT' 피켓 다시 붙이는 국민의힘
배경훈 인사청문회에서 '최민희 독재 OUT' 피켓 다시 붙이는 국민의힘
모두발언하는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
모두발언하는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