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휴대폰 원격 진료' 언제쯤 상용화되나


임상실험 끝내고 법 개정 기다려…"내년쯤 가능" 전망도

#산간 지역에 사는 당뇨병 환자 A씨. 그에게 휴대폰은 단순한 기기가 아니다. 생명줄이나 다름 없다. 집이 멀어 병원을 자주 찾을 수 없는 그에겐 휴대폰이 병원과 바로 연결되는 '핫라인'이기 때문이다.

당뇨는 꾸준한 관리를 받지 않을 경우 심장병 등 합병증을 유발한다. 그만큼 자주 의사들과 만나야 한다. 이럴 때 A씨는 휴대폰을 이용한다. 휴대폰에 연결된 측정기로 혈당을 재면 의사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전송된다. 의사는 A씨가 보낸 정보를 토대로 적절한 조치를 내린다. A씨는 이 같은 유비쿼터스 헬스케어(u헬스)를 통해 꾸준한 당뇨 관리 서비스를 받아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휴대폰을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대가 서서히 열리고 있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추세로 봐선 내년쯤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란 전망까지 제기되고 있다.

휴대폰 원격 진료는 언제 어디서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u헬스'의 핵심으로 꼽히는 서비스. 특히 A씨처럼 병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생활하는 사람들에겐 휴대폰 원격 진료 서비스는 새로운 생명줄이나 다름 없다.

하지만 그 동안 휴대폰 원격 진료 서비스는 열릴 듯 하면서도 열리지 않는 '문'이었다. 기술적인 문제 때문이 아니었다. 실제로 일부 의료계에서는 이미 관련 기술 및 서비스를 마련하고 수차례 임상실험을 마쳤다.

하지만 법적인 문제 등으로 상용화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기존 시스템에 맞춘 의료 법 체계 때문에 휴대폰 원격 진료 서비스를 쉽게 도입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이런 상황이 바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정부가 u헬스 육성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상용화가 멀지 않았다는 희망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보건복지가족부는 이번 정기국회에서 원격 진료가 가능하도록 의료법을 개정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원격 당뇨 관리 서비스 시범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에 맞춰 일부 병원들은 이미 사업 수주를 준비하고 있다.

◆"원격 당뇨관리로 환자 한명 당 3천만원 절감"

원격 진료 상용화가 시작되면 당뇨 및 심장질환 부문에서 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당뇨병은 일상적 관리가 중요하고 심장질환은 환자상태의 실시간 검토가 필요한 질병이다. 이 때문에 병원을 자주가야 하지만 여건이 안 되는 당뇨병이나 심장질환 환자들에게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의료 서비스는 매우 유용하다.

실제로 국내 의료계는 2000년대 초부터 원격 당뇨 관리 서비스를 마련해왔다. 대표적인 것이 서울성모병원의 가톨릭u헬스케어사업단이다.

서울성모병원의 가톨릭U헬스케어사업단은 지난 2001년 병원에 자주 올 수 없는 당뇨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혈당 정보를 의사들과 공유하는 웹 사이트를 만들었다. 환자들이 혈당을 집에서 잰 후 해당 정보를 사이트에 올리면 이 데이터를 토대로 조치를 내려주는 서비스다.

가톨릭U헬스케어사업단은 이 서비스를 실제 환자들에게 적용해 임상 실험을 했다. 또 휴대폰과 PDA에도 적용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환자가 휴대폰에 장착된 혈당측정기에 피를 떨어뜨리면 혈당 정보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의사에게 전송되는 식이다.

이 과정에서 가톨릭U헬스케어사업단은 헬스피아라는 업체가 개발한 동글타입의 혈당측정 모듈을 LG전자의 휴대폰에 접목해 지난 2004년 개발된 '당뇨폰'을 이용하기도 했다. 가톨릭u헬스케어사업단은 이 임상실험 결과들을 토대로 쓴 논문들이 의료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에 수차례 실렸다고 밝혔다.

이 사업단은 모바일 당뇨관리 서비스를 35년간 이용하면 약 3천만원가량의 의료비가 절감된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합병증 예방을 통한 의료비 절감분이 포함된 수치다. 이 팀은 현재 혈당 측정 데이터들을 모아 향후 환자의 상태를 예측하는 프로그램도 개발하고 있다. 또 이 서비스에 대한 경제성 분석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대세 거스를 수 없다"

하지만 가톨릭u헬스케어사업단의 원격 당뇨 관리 서비스는 상용화까지 이르지는 못했다. 의료법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현재 원격 진료가 불법 의료 행위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비용을 청구하는 것도 당연히 불법이다.

휴대폰용 혈당측정기 제품을 보유한 헬스피아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해외 시장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법 개정이 어려웠던 이유는 기존 의료계의 반대 때문이었다. 일부 의사들은 대면 진료 회수가 줄어들 경우 수익이 악화되는 점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다 ▲불분명한 경제성 ▲환자에게 이롭다는 의학적 증거 부재 등도 원격 진료 합법화를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했다.

물론 원격 진료 도입에 찬성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이들은 "임상 실험 결과 등 u헬스가 환자에게 이롭다는 증거가 있는 한 반대진영의 이해관계가 대세를 거스를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의 경우 오바마 정부가 u헬스 상용화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 작업을 적극 진행하고 있다. 또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상용화 단계에 들어갔다.

우리나라 정부도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u헬스 육성을 위해 60억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 예산을 토대로 ▲전문 인력 양성 ▲보건복지가족부 산하 연구센터 설립 ▲임상 실험 지원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번 정기국회가 끝나기 전에 관련 법안을 통과시킨다는 목표다.

지식경제부도 u헬스를 통한 당뇨관리 부문 시범사업을 검토하는 등 역량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에 의료계 한 관계자는 "곧 제도가 마련돼 내년쯤엔 상용화가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편화는 3000년대나 가능할 것" 회의론도

하지만 u헬스 상용화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정부의 적극적 움직임에 대해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지원하겠다는 말은 7년전부터 나온 것"이라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국내에서 제도적인 뒷받침은 기대 안하는게 속편하다는 반응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u헬스가 상상처럼 보편화 되는 건 3000년대나 돼야 가능할 것"이라고 극단적인 비관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u헬스 상용화는 ▲과금체계에 대한 정립 ▲의료업계 내부의 소통 ▲국민적 합의 창출 ▲u헬스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다수 부처간 협의 등의 문제들이 얽혀 아직 멀었다는 게 이들의 예상이다.

강현주기자 jjoo@inews24.com

2024 iFORU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휴대폰 원격 진료' 언제쯤 상용화되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