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진우 기자] 2025 포항국제불빛축제의 메인 행사가 행사 당일, 예기치 못한 폭우로 인해 몇 시간 앞두고 전격 취소됐다. 이에 대해 정치권 일각에서는 "무책임한 행정"이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으나, 이러한 주장에 앞서 무엇이 시민을 위한 결정이었는지 냉정한 판단이 필요하다.
폭우가 쏟아지는 가운데서도 포항스틸러스의 축구 경기는 예정대로 진행됐다. 이를 근거로 불빛축제도 강행할 수 있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수십만 명이 운집하는 야외 공간에서 드론과 불꽃을 동시에 사용하는 불빛축제는 고위험 행사로, 단순한 스포츠 경기와는 본질이 다르다.

포항시는 지난 21일 호우주의보가 발효됨에 따라, 오후 5시 2분 긴급재난문자를 통해 포항국제불빛축제 메인 행사 취소를 공지했다. 이는 재난안전부의 ‘안전관리 강화 요청’에 따른 조치이며, 형산강 수위 상승, 행사장 침수 우려, 전기 설비 감전 가능성, 인파 사고 등 다양한 위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이었다.
포항시 관계자는 "시민과 관광객의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판단"이었으며 "단 1%의 위험도 용납할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소속 포항 남구 시·도의원들은 24억 원이 투입된 축제가 "기상특보 한 줄로 전면 취소됐다"며 "면피성 해명"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축제 연기, 피해 실태 조사, 안전 매뉴얼 정비를 요구했다.
하지만 이 같은 비판에는 행정의 '안전 최우선' 원칙이 빠져 있다. 상인들의 손해, 자원봉사자의 헌신, 예산 집행은 물론 중요하지만, 시민의 생명과 안전보다 우선할 수는 없다.
정치권의 목소리가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과 대안 마련으로 이어져야지, 단순한 행정 질타에 머물러서는 곤란하다.
이번 사안의 본질은 단순한 '행사 취소'가 아니라, 기후 위기 속에서 대규모 행사를 어떻게 안전하게 운영할 것인가에 있다. 축제 일정의 탄력적 조정, 기상 대응 매뉴얼 정비, 실시간 상황 판단 체계, 신속한 사전 공지 시스템, 대체 행사 마련 등 전면적 시스템 보완이 필요하다.
이는 포항만의 과제가 아니라, 전국 지방정부가 함께 고민해야 할 안전행정의 표준이 되어야 한다.
포항시의 취소 결정은 책임 회피가 아닌, 책임 수행의 결과다. 이 판단을 '무책임'이라 비난만 할 것이 아니라, 더 나은 대응 체계로 이어가야 한다. 지역 경제 회복도 중요하지만, 그 기반은 시민의 안전 위에 있다.
이제는 논란을 넘어, 시민의 생명을 지키는 실질적 논의와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번 사건이 축제 안전 매뉴얼의 재정비와 정책 실현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대구=이진우 기자(news1117@inews24.com)
--comment--
저기요 기자님 기자님이 서울에서 포항까지 가족들 모시고 간다고 생각해보세요 당일까지 20mm 안내 까지 인스타그램에 안내하고 뉴스에 불빛축제 한다고 뉴스방송하고 누가봐도 하는 분위기였는데 당일 4시간전 취소요? 기자님 같으면 용납하시겠어요?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