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2023년 기술무역 386억 달러, 역대 최대


과기정통부, 2023년도 기술무역통계 결과 발표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우리나라의 ‘2023년도 기술무역통계’(연구수행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2023년도 우리나라의 기술무역 규모(수출+도입)는 역대 최대 규모인 386억 달러로 2022년보다 37억4700만 달러(10.8%↑) 증가했다. 기술무역수지비(수출/도입)는 전년(0.78) 대비 0.06p 상승한 0.84로 나타났다.

기술수출은 전년 대비 16.0% 증가한 176억 4800만 달러, 기술도입은 전년 대비 6.7% 증가한 209억5200만 달러로 모두 역대 최대 규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정종오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정종오 기자]

산업별 특징을 살펴보면, 전기·전자 산업의 기술무역 규모가 143억7500만 달러(37.2%)로 전년도 1위였던 정보·통신 산업(124억9100만 달러, 32.4%)을 넘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기계 산업은 기술무역규모가 23.4% 증가했다. 건설 산업은 규모는 작은데 기술무역수지비가 4.56으로 가장 높았다.

전기·전자 산업의 경우 기술수출이 52억8300만 달러(29.9%)로 전년 대비 28.9% 증가해 기술수출 증가액의 약 절반(48.8%)을 차지했다. 기술도입은 90억9000만 달러로 10.1%가 증가했다. 전기·전자 분야의 경우 대기업이 기술수출과 도입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정보·통신 산업은 흑자 규모가 가장 큰 산업으로 기술수출이 68억1000만 달러(38.6%)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기술도입은 56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4% 감소해 기술무역수지는 11억32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기술무역 규모의 성장세는 우리나라의 글로벌 기술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국가와 글로벌 협력망 구축, 국가전략기술 등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기술이전과 사업화까지 적극 지원해 R&D 성과 기반의 성장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2023년 기술무역 386억 달러, 역대 최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중증 핵심의료 재건을 위한 간담회
중증 핵심의료 재건을 위한 간담회
'착한 사나이' 류혜영, 건달 집안의 엘리트 막내딸
'착한 사나이' 류혜영, 건달 집안의 엘리트 막내딸
박훈, 나도 '착한 사나이'
박훈, 나도 '착한 사나이'
'착한 사나이' 오나라, 여름 성수기 두렵지 않은 슬림 몸매
'착한 사나이' 오나라, 여름 성수기 두렵지 않은 슬림 몸매
'착한 사나이' 이동욱X이성경, 두근두근 첫사랑
'착한 사나이' 이동욱X이성경, 두근두근 첫사랑
'착한 사나이'로 드라마 데뷔하는 송해성 감독
'착한 사나이'로 드라마 데뷔하는 송해성 감독
'착한 사나이' 이성경, 현실로 나온 자스민 공주
'착한 사나이' 이성경, 현실로 나온 자스민 공주
이동욱 '착한 사나이'
이동욱 '착한 사나이'
배경훈 인사청문회에서 '최민희 독재 OUT' 피켓 다시 붙이는 국민의힘
배경훈 인사청문회에서 '최민희 독재 OUT' 피켓 다시 붙이는 국민의힘
모두발언하는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
모두발언하는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