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존재감 커진 은행지주 증권사, 순익 더블


신한·우리·하나·KB·NH 작년 순익 1.7조…전년 대비 2.5배
NH 1위 수성·신한 2.4배 급증·하나 흑전…비은행 기여도 확대

[아이뉴스24 정태현 기자] 은행계 증권사들이 지난해 브로커리지와 IB를 중심으로 순익을 대폭 끌어올렸다. 순익 기여도가 오르면서 그룹 내 존재감도 커졌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은행계 증권사 5곳(신한·우리·하나·KB·NH)의 지난해 순익은 총 1조7493억원으로 전년 7000억원보다 150% 급증했다.

2023~2024년 은행지주 증권사 순익 [사진=각사]
2023~2024년 은행지주 증권사 순익 [사진=각사]

NH투자증권이 지난해에 이어 은행계 증권사 중 가장 큰 순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순익은 6866억원으로 전년 5530억원보다 24% 늘었다.

가장 급격한 변화를 보인 곳은 하나증권이다. 2890억원 적자에서 2240억원의 흑자로 전환했다. 신한투자증권도 1010억원에서 2460억원으로 순익을 대폭 늘렸다. 우리투자증권은 출범 첫해에 25억원의 순익을 기록했다.

전반적으로 순익을 대폭 늘리면서, 계열사 내 위상도 같이 상승했다. 하나증권은 2023년 3000억원에 육박한 손실을 냈지만, 지난해에는 비은행 계열사 중 가장 큰 손익을 기록했다. 그룹연결 순익 중 6%를 차지했다.

KB증권은 KB손해보험에 순익이 밀렸지만, 점차 격차를 좁히고 있다. 두곳의 순익 차는 2023년 3237억원에서 지난해 2538억원으로 줄였다. 그룹 순익 기여도도 8.5%에서 11.5%로 3%포인트(p) 키웠다.

1년 새 순익을 2.4배 늘린 신한투자증권도 그룹 순익 기여도를 2.3%에서 5.4%로 끌어올렸다.

해외주식과 IB 부문이 순익 확대를 견인했다. NH투자증권의 지난해 해외주식 약정 금액과 위탁 자산은 전년보다 각각 27조원, 6조4000억원씩 증가했다. 브로커리지 수수료 이익도 전년보다 6.6% 증가한 4589억원을 기록했다.

신한투자증권의 위탁수수료 수익도 3535억원에서 3890억원으로 10% 늘었다.

DCM과 ECM에서 강점을 보인 KB증권은 IB 부문에서 순익을 키웠다. 지난해 IB 수수료 수익은 4703억원으로 전년보다 15% 늘었다.

하나증권은 전 부문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다만 순익 확대에 큰 기여를 한 건 영업외이익이었다. 2023년 78억원에서 지난해 1697억원으로 급증했다. 투자 자산을 재평가하면서 이익이 크게 늘었다.

지난해 출범한 우리투자증권은 74억원의 영업순손실을 냈지만, 순익은 흑자로 전환했다. 우리종합금융과 한국포스증권 합병 효과로 77억원의 염가매수차익이 난 영향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지난해 해외주식 거래가 늘면서 WM 부문 수익이 전반적으로 늘었다"며 "시장 변동성이 계속됐지만, IB에서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해 선방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태현 기자(jth@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존재감 커진 은행지주 증권사, 순익 더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기자회견 참석하는 박찬대
기자회견 참석하는 박찬대
현안 관련 기자회견하는 박찬대 민주당 대표 후보자
현안 관련 기자회견하는 박찬대 민주당 대표 후보자
국회 법사위 소위 '검찰개혁 4법' 공청회
국회 법사위 소위 '검찰개혁 4법' 공청회
서울시 당원 간담회 갖는 김문수 당대표 예비후보
서울시 당원 간담회 갖는 김문수 당대표 예비후보
최고위원회의 참석하는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최고위원회의 참석하는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비상대책위원회의 참석하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비상대책위원회의 참석하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의 자택 압수수색 관련 긴급 기자회견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의 자택 압수수색 관련 긴급 기자회견
당 혁신안 발표하는 안철수
당 혁신안 발표하는 안철수
국민의힘 혁신안 발표하는 안철수 의원
국민의힘 혁신안 발표하는 안철수 의원
국민의힘 혁신안 발표 기자회견하는 안철수 의원
국민의힘 혁신안 발표 기자회견하는 안철수 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