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뭔말이지?] 물가와 금리는 무슨 관계일까?


[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5월 국내 소비자물가가 전년동기 대비 5.4% 상승하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유력하게 전망되고 있다. 국내 소비자물가가 5%대를 넘어선 것은 2008년 8월(5.6%) 이후 처음으로,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인 2%를 크게 추월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물가와 금리인상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물가상승이 시작되면 일반적으로 금리도 따라 오르고, 물가가 하락하면 금리고 하락한다.

뭔말이지
뭔말이지

실제 4월 소비자물가가 전년동기 대비 4.8%까지 오른 이후 한국은행은 지난달 26일 기준금리를 기존 1.50%에서 1.75%로 0.25%p 인상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경제성장 회복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현재는 물가위험이 더 큰 상황으로 판단한다"면서 "현재는 물가와 성장 중에 물가에 더 중심을 둔 채 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리를 인상하는 데 물가가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이다. 물가와 금리는 이처럼 같이 움직인다.

물가가 오르면 금리가 상승하는 이유는 먼저 '채권시장 감시꾼(Bond Wigilantes)'의 권력 때문이다. 예컨대, 물가가 5.4%상승하면 이는 재화와 서비스가격이 5.4%까지 오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정부채권 구매자는 적어도 가격과 구매력의 상승분을 상쇄할 만큼의 수익을 원하고, 채권 이자를 최소 5.2%, 혹은 1~2%의 마진을 붙여 6~7%의 연리를 요구할 수도 있다.

이 같이 전반적으로 채권금리가 오르면 정부가 발행하든, 기업이 발행하던, 소매 발행 채권이든 고스란히 영향을 받는다. 은행은 정부 채권을 최소 5%대의 이율로 빌려 마진을 붙여 5%대 이상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적용한다. 채권이 오른만큼 비용이 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가가 오르면 은행의 조달비용이 늘고 이는 최종적으로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진다.

물가와 금리가 밀접한 또 하나의 이유는 소비자 지출 때문이다. 물가가 높으면 소비자는 소비를 줄이고, 소비가 줄어들면 수요보다 공급이 커지며 경제 순환이 어긋난다.

또 물가가 높은 데 반해 경제성장이 저조하게 되면 장기 경제불황인 '스테크플레이션'으로 번질 수 있단 부작용도 있다.

이에 중앙은행은 금리를 올려 소비자에게 부담이 크게 전가되는 것을 막기도 하고, 반대로 금리가 높아 경제에 무리가 가면 금리를 내려 경제의 균형을 맞춘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뭔말이지?] 물가와 금리는 무슨 관계일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