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기자수첩] 재건축·재개발 공사비 갈등 언제까지


기자수첩
기자수첩

[아이뉴스24 이수현 기자] "예전에도 재건축, 재개발을 하면서 공사비를 두고 이러쿵저러쿵 말들이 적지 않았죠. 사업 추진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다 조합과 시공사 모두에게 큰돈이 걸린 문제잖아요. 그런데 요즘처럼 갈등이 심했던 적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최근 만난 한 부동산 중개업소 대표의 말이다. 이미 조합원으로 정비사업을 경험했고, 지금도 사업을 진행 중인 단지의 조합원이라는 그는 정비사업 환경이 이전과 비교해 크게 달라졌다고 혀를 내둘렀다.

가장 큰 차이는 공사비다. 과거에도 물가 변동에 따라 공사비 증액은 간간이 이뤄졌지만, 서울에서는 많은 사업장이 그렇지는 않았다고 한다. 그런데 최근 수년간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가 올랐다는 점이 주 이유로 떠오르면서 공사비 갈등 또한 더 치열해졌다는 것이 그의 평가다.

이렇게 공사비 갈등이 심해지면 지자체도 중재를 위해 발 벗고 나서는데, 한계는 분명하다. 지자체의 의견은 권고 수준이라 강제로 시공사와 조합을 중재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더욱이 이미 일반분양을 끝낸 단지의 경우엔 조합원들의 부담 증가에 따른 반발이 커 시공사가 나서 입주를 못 하게 막는 사례까지 벌어지고 있다.

서울시가 중재에 나선 단지 중 잠실진주(잠실래미안아이파크)와 대조1구역 등은 일반분양가 조절이 가능한 만큼 공사비 중재가 비교적 수월했다고 하는데, 일반분양을 진행한 단지는 중재를 위한 코디네이터가 파견됐음에도 여전히 타협점을 찾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듯 공사비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사업기간이 더 지연되고 입주를 할 수 있는 수준인데도 입주를 하지 못 하면서 공급부족을 더 부채질하는 등 시장 왜곡 사태로 전이되고 있다.

정부가 8.8 주택공급 대책을 통해 1000가구 이상 사업장에 전문가 파견을 의무화하는 등 공사비 갈등에 대한 추가 대책을 발표했는데, 그마저도 무용지물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중재의 강제성이 없어서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내달 시멘트를 비롯해등 일부 품목의 가격 하락을 유도하는 등 공사비 안정화를 위한 추가 대책 발표를 예고했다. 주요 건자재 가격을 인위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는 차치하더라도, 그 대책이 생색내기에 불과할 수 있다는 목소리에도 정부는 귀 기울여야 한다.

도심 내 주택공급의 주요 방법인 정비사업 시장이 극단적 대립을 넘어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는 물론, 건설사와 조합원 등이 머리를 맞대 혜안을 찾기를 바란다.

/이수현 기자(jwdo95@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기자수첩] 재건축·재개발 공사비 갈등 언제까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인사말하는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인사말하는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K-휴머노이드연합 창립총회
K-휴머노이드연합 창립총회
인사말하는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
인사말하는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
뮤지컬 무대에서 남자 역할 연기하는 아이키
뮤지컬 무대에서 남자 역할 연기하는 아이키
김히어라, 매혹적인 프리다 칼로
김히어라, 매혹적인 프리다 칼로
'프리다' 김지우, 여전사 모먼트
'프리다' 김지우, 여전사 모먼트
뮤지컬 배우로 변신한 댄서 아이키
뮤지컬 배우로 변신한 댄서 아이키
정보위 전체회의 참석한 이종석 국정원장
정보위 전체회의 참석한 이종석 국정원장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
'프리다' 김히어라, 뮤지컬로 화려한 복귀
'프리다' 김히어라, 뮤지컬로 화려한 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