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현대건설, 블루수소 생산 위한 CO2 포집·액화·활용기술 개발 착수


12개 기관 공동 참여로 실증연구 수행 후 친환경 블루수소 사업화 활용 예정

[아이뉴스24 이영웅 기자] 현대건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CU(Carbon Capture, Utilization,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분야 국책과제의 주관 연구개발 기관으로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연구비 335억원(정부지원 195억원)의 '블루수소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식 CO2 포집 액화공정의 최적화 및 실증' 과제다. 일일 100톤 이상 CO2를 포집, 활용하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으로 평택수소특화지구에서 실증을 거쳐 연 100만톤급 상용화 공정 설계수행을 통해 기술내재화를 목표로 한다.

현대건설의 블루수소 사업 관련 연구조직 [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의 블루수소 사업 관련 연구조직 [사진=현대건설]

총 연구기간은 33개월이다. 과제종료 후 상업운전을 계획하고 있는 산업연계형 연구로 세 가지의 포집공정(습식, 분리막, VSA(Vacuum Swing Adsorption))을 활용한 하이브리드형 CO2 포집·액화 공정이 적용될 예정이다.

과제 목표는 회수율 90%, 순도 95% 이상의 저에너지 CO2 포집·액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며, 세계수준의 기술 확보와 국산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 대한민국의 블루수소 생산분야 핵심기술 확보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건설(총괄주관, 설계·시공 및 습식포집기술)과 현대자동차(블루수소 친환경성 검증 및 수소생산·CO2 포집등 경제성 분석), 롯데케미칼(분리막포집기술), 에너지기술연구원(포집기술), 맑은환경산업(플랜트제작), 이도(운영), 한국특수가스(액화탄산 활용) 및 유명대학 등 12개 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한다.

기술개발 완료 후에는 기술이전 등을 통해 대규모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사업장(블루수소 생산플랜트, 중·소규모 소각로, LNG 연소 보일러, 석유화학 공장 등)으로 적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포집된 CO2는 액화 공정을 거쳐 액화탄산을 직접 활용하거나 고순도 정제 공정 후 특수가스로 판매된다.

한편, 현대건설은 지난 2월 CCUS 분야 연구개발 기술협력 및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 현대자동차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현대건설이 보유하게 된 CO2 습식포집기술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CO2 액상 흡수제를 핵심기술로 하고 있다.

/이영웅 기자(hero@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현대건설, 블루수소 생산 위한 CO2 포집·액화·활용기술 개발 착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기자회견 참석하는 박찬대
기자회견 참석하는 박찬대
현안 관련 기자회견하는 박찬대 민주당 대표 후보자
현안 관련 기자회견하는 박찬대 민주당 대표 후보자
국회 법사위 소위 '검찰개혁 4법' 공청회
국회 법사위 소위 '검찰개혁 4법' 공청회
서울시 당원 간담회 갖는 김문수 당대표 예비후보
서울시 당원 간담회 갖는 김문수 당대표 예비후보
최고위원회의 참석하는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최고위원회의 참석하는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비상대책위원회의 참석하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비상대책위원회의 참석하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의 자택 압수수색 관련 긴급 기자회견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의 자택 압수수색 관련 긴급 기자회견
당 혁신안 발표하는 안철수
당 혁신안 발표하는 안철수
국민의힘 혁신안 발표하는 안철수 의원
국민의힘 혁신안 발표하는 안철수 의원
국민의힘 혁신안 발표 기자회견하는 안철수 의원
국민의힘 혁신안 발표 기자회견하는 안철수 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