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삼성전자, 반도체 3대 사업부 동반부진에 2Q 수익성 '뚝'


매출 74조5663억원 영업이익 4조6761억원 기록
DX 영업이익 3조3000억원...반도체는 4000억원
"하반기 AI와 로봇 중심으로 IT시황 점차 개선될 것"

[아이뉴스24 박지은 기자]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반도체 사업 부진 영향으로 급감했다. 스마트폰, 네트워크, 생활가전은 선방했지만 메모리·시스템LSI·파운드리 등 반도체 3대 사업부의 수익성이 동반 하락한 결과다.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에 매출 74조5663억원, 영업이익 4조6761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0.67%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55.23% 감소했다.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

영업이익은 △메모리 반도체 재고 충당금 발생 △스마트폰·TV 판매 부진 △원·달러 환율 하락 등으로 크게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부문별 매출은 △디바이스경험(DX) 부문 43조6000억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27조9000억원 △디스플레이 6조4000억원 △하만 3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DX부문 3조3000억원 △하만 5000억원 △디스플레이 5000억원 △DS부문 4000억원으로, DS부문의 기여도가 가장 낮았다.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2025년도 2분기 실적 장표. [사진=삼성전자]

특히 DS부문은 3대 사업부인 메모리, 시스템LSI, 파운드리가 모두 부진했다.

메모리는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고용량 DDR5 판매가 늘며 서버 수요에 적극 대응했지만, 대중(對中) 무역제재 영향으로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며 실적이 하락했다.

시스템LSI는 2분기 자사 플래그십 스마트폰(갤럭시Z 플립7)에 시스템온칩(SoC)를 공급하며 매출은 발생했지만, 첨단제품 개발 비용 상승으로 여전히 적자를 기록했다.

파운드리도 매출은 증가했지만, 첨단 AI 칩의 대중 제재 영향으로 재고 충당금이 발생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DX부문은 TV 외 스마트폰, 생활가전, 네트워크 모두 선방하며 2분기 실적 버팀목 역할을 했다.

모바일경험(MX)사업부는 갤럭시S25 시리즈의 판매가 2분기에도 지속되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했다. 네트워크사업부도 해외 매출 증가로 수익성 개선을 이뤘다.

생활가전사업부도 일찍 찾아온 무더위에 에어컨 판매가 늘었고, AI 가전 판매가 증가했다. 다만 비주얼디스플레이(VD)사업부는 글로벌 TV 시장 경쟁 심화로 실적이 하락했다.

삼성전자는 "하반기 글로벌 무역환경의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전 세계적인 성장 둔화가 우려되지만, 인공지능(AI)과 로봇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확산되며 IT 시황도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주당 367원(보통주·우선주)씩 분기배당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박지은 기자(qqji0516@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삼성전자, 반도체 3대 사업부 동반부진에 2Q 수익성 '뚝'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홈캠' 따뜻한 가족영화? NO! 서늘한 호러영화
'홈캠' 따뜻한 가족영화? NO! 서늘한 호러영화
'홈캠' 권혁, MZ 무당 변신~
'홈캠' 권혁, MZ 무당 변신~
'홈캠' 윤세아, 명품 각선미 살짝~
'홈캠' 윤세아, 명품 각선미 살짝~
'홈캠' 윤세아, 나도 호러퀸
'홈캠' 윤세아, 나도 호러퀸
'홈캠' 엄마 역할하는 윤세아, 아역배우 바라보며 눈에 꿀이 뚝뚝
'홈캠' 엄마 역할하는 윤세아, 아역배우 바라보며 눈에 꿀이 뚝뚝
야당 위원들과 인사 나누는 추미애 위원장
야당 위원들과 인사 나누는 추미애 위원장
발언하는 추미애 법사위원장
발언하는 추미애 법사위원장
국회 법사위 주재하는 추미애 위원장
국회 법사위 주재하는 추미애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법 개정안 제출
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법 개정안 제출
장동혁 신임 당대표 기자회견
장동혁 신임 당대표 기자회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