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강일 기자] 관세청이 2025년 상반기 동안 총 617건, 2680kg의 마약 밀수를 적발하며 역대 최대 중량 기록을 세웠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적발 건수는 70%, 중량은 800% 증가한 수치다. 특히 필로폰 1회 투약량(0.03g) 기준으로 약 8933만 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규모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 적발된 대형 코카인 밀수 2건(강릉 1690kg, 부산 600kg)을 제외하더라도 나머지 마약만으로도 390kg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출발지역별... 중남미발 밀수 '폭증', 북미·유럽도 급증
마약 주요 출발지역은 중량 기준으로 중남미, 아시아, 북미, 유럽 순으로 나타났다.
중남미 지역의 경우 선박을 통한 코카인 대형 밀수가 집중적으로 적발되며 전년 대비 7824% 증가했다. 관세청은 이 같은 현상이 미국·캐나다의 국경 통제 강화에 따른 '풍선효과'로 중남미 카르텔이 아시아로 유통망을 전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아시아는 여전히 국내 밀수 마약의 주요 출발지로, 태국·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등 동남아 국가에서의 밀수가 지속됐고, 전년보다 10% 증가했다.
북미 지역은 캐나다발 필로폰, 미국발 대마 밀수가 늘며 72% 증가했으며, 유럽도 프랑스발 케타민, 영국발 필로폰 등이 적발되며 191% 급증했다.
품목별...코카인 급증, 필로폰·케타민도 다수
품목별로는 코카인(2290kg)이 가장 많이 적발됐고, 그 뒤로 필로폰 152kg, 케타민 43kg, 대마 36kg 순이었다.
코카인은 아시아 전체에서 밀수 증가세를 보이며 전년 대비 7941% 증가했다. 유엔 마약위원회(UNODC)도 아시아를 코카인의 새로운 종착지 또는 경유지로 지목한 바 있다.
필로폰은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상반기 기준 두 번째로 많이 적발된 마약이며, 케타민은 747% 증가해 최근 급속히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또한 마약성분이 포함된 의약품도 305건 적발되며 281% 증가했다. 이는 관세청이 통관 검사를 대폭 강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밀수경로... 여행자·특송 경로 급증, 국제우편은 감소
밀수 경로별로는 여행자, 특송화물, 국제우편 순으로 나타났다.
여행자 경로에서는 적발 건수가 248%, 중량은 156% 증가했으며, 특송화물도 건수는 105%, 중량은 44% 늘었다. 이는 유통 목적의 대형 밀수와 자가 소비용 소량 밀수가 동시에 증가한 결과다.
반면 국제우편 경로는 감시강화와 경로 전환 등으로 인해 적발 건수 21%, 중량은 27% 줄었다.
관세청, AI·빅데이터 기반 선별검사 강화... 국제공조도 확대
관세청은 앞으로 AI·빅데이터 기반 위험 선별 기술을 고도화하고, 최신검색장비를 확충할 계획이다. 특히 밀리미터파 신변 검색기, 후방 산란 방식 컨테이너 검색기 등 마약 은닉 방식에 최적화된 장비를 활용해 검사 효율을 높인다.
또한 중남미·동남아 등 주요 출발국과의 정보 공유 및 합동단속도 확대해 선박을 통한 대형 밀수를 선제적으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최근 2년 연속 국내 마약사범이 2만명을 넘기며 마약이 사회 전반에 침투하고 있다”며 “관세청은 해외에서 반입되는 마약을 국경 단계에서 원천 차단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대전=강일 기자(ki0051@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