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배정화 기자]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4·3 남로당 총파업 발언이 제주 4·3유족들의 강한 비판을 받고 있다.

지난 21일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제주를 방문한 자리에서 4·3 사건을 언급하며 “당시 미군정과 이승만 정부는 남로당 총파업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수만 명의 무고한 제주 주민을 잔혹하게 희생시켰다”고 발언했다.
이어진 기자들의 질문에도 그는 “미군정과 이승만 정부의 단독 선거를 반대하는 남로당의 파업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고 생각한다”며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제주4·3기념사업위 청년위원회는 24일 성명을 내고 "껍데기뿐인 국민의힘 김용태는 비대위원장직에서 즉각 사퇴하고 제주도민과 4·3 유족에게 사죄하라"고 요구했다.
청년위원회는 "제주 4·3의 역사 그 어디에도 '남로당 총파업'이라는 표현은 존재하지 않는다"며 "국가가 공식적으로 발간한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에도 ‘남로당 총파업’이라는 단어는 단 한 글자도 등장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용태 위원장은 혹시 1947년 3월 10일 있었던 3·10 민·관 총파업을 '남로당 총파업'으로 왜곡하고 있는 것이냐"면서 "사실관계는 명확하다. 1947년 3월 1일, 관덕정 광장에서 열린 3·1절 기념대회에서 경찰은 집회 중이던 도민들에게 총을 발포했고, 이로 인해 6명이 사망하고 8명이 중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특히 "이 비극에 분노한 제주도민들은 3월 10일,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80%에 달하는 인구가 동참한 ‘3·10 민·관 총파업’을 단행했다"며 "도내 관공서 직원의 약 95%가 파업에 참여한 이 파업은, 조직적인 정치 이념이 아닌 도민들의 ‘생존권 수호’와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외친 집단적 저항이었다"고 강조했다.
청년위원회는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무시한 김 위원장의 인식은, 이승만 정권과 서북청년단이 내세우던 '빨갱이 몰이' 논리의 연장이며, 과거 태영호 의원이 보였던 무지하고 무책임한 역사인식과 다르지 않다"며 "제1야당의 대표격인 인사가 여전히 색깔론을 앞세워 국민을 이념으로 재단하고, 희생의 역사를 왜곡한다는 점에서 국민의힘의 시대착오적 본질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것이다"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더 이상 철 지난 색깔론으로 4·3을 왜곡하고 폄훼하지 말라. 제주도민을 향한 어설픈 기자회견 이전에 먼저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역사 인식을 갖추길 바란다. 부디 도민을 기만하지 말고, 4·3을 정치적 도구로 이용하지 말라"면서 "김용태 비대위원장은 진정 4·3을 생각한다면 지금이라도 본인의 역사 왜곡 발언에 대해 명확히 책임지고, 최소한의 도리로서 즉각 비상대책위원장직에서 사퇴하라. 그리고 제주도민과 4·3 유족 앞에 진심으로 사죄하라"고 촉구했다.
/제주=배정화 기자(bjh9881@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