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창재 기자] 대구 북구 구암동 고분군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제100·102호분이 도굴로 인해 심각하게 훼손된 것으로 확인됐다.
대구 북구와 대동문화유산연구원은 24일 구암동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 설명회를 열고, 해당 무덤의 원형이 크게 손상됐다고 밝혔다. 연구원 측은 도굴 흔적이 남아있는 무덤 사진을 공개했으며, 무덤 정상부에는 움푹 파인 커다란 구멍 여러 개가 확인됐다.

정밀 발굴조사 결과, 시신이 안치된 주곽과 유물이 담긴 부곽을 둘러싼 돌무더기 일부가 무너진 채 발견됐으며, 도굴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양초와 곡괭이도 출토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유물의 위치가 흩어져 있어 매장 당시 풍습이나 무덤 구조를 복원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원형 보존 상태였다면 무덤 축조 과정과 토목 기술을 역추적할 수 있었겠지만, 현재로서는 완전한 정보를 얻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날 공개된 고분은 주곽 1기와 부곽 2기가 ‘111’자 형태로 배치돼 있었으며, 무덤의 크기는 지름 약 25m, 높이 6~7m로 신라시대 고위층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현장에서 출토된 유물은 토기, 철제 칼, 장신구 등 총 136점으로, 대부분 제자리에 있지 않은 채 흩어져 있었다.
연구원은 도굴로 인한 문화재 훼손이 고분군 연구에 큰 제약을 주고 있다며, 유적 보호에 대한 지역사회의 경각심과 관심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