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기술평가 표준화하고, 평가비용도 낮춰야"


'기술평가·기술금융 활성화 세미나'서 전문가들 지적

[이혜경기자] 창조벤처에 효과적인 금융 지원이 이뤄지려면 ▲기술평가 표준화 ▲평가 비용 하향조정 등의 선결 과정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왔다.

12일 오후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기술평가·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한 공개 세미나'에서 금융연구원의 임형준 박사는 "기술의 정보 비대칭성,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높은 위험, 은행의 보수적인 자금 공급 등으로 인해 기술기업에 대한 대출 확대는 한계가 있다"며 "기술금융을 활성화하려면 시중은행이 외부 기술평가기관의 평가결과를 적극 활용하고, 평가비용 분담 등으로 기술평가비용을 낮출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지식재산연구원의 류태규 박사는 "표준 평가모델 개발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류 박사는 "금융시스템 내에 기술평가를 빠른 시일 내에 도입하고 전체적인 평가 비용을 절감하려면 금융기관, 평가기관, DB 관리기관이 서로 공유할 수 있는 표준 평가모델과 개방형 DB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발명진흥회의 조경선 박사도 "현행 기술평가시장은 평가기관 등이 자체목적에 맞춰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수요자보다는 기술평가 공급자 중심의 평가정보를 제공해 활용도가 떨어진다"고 말했다.

산업은행의 황교민 부장은 "우량자산의 확충을 위해서는 재무평가 중심의 기업금융에서 벗어나, 기술평가를 통한 기술금융시장을 개척할 필요가 있다"고 발표했다. 황 부장은 "금융기관내 기술평가 인프라를 구축하려면 기술평가 관련 독립조직이 필요하고, 정책적 인센티브 제공도 필수적"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개인대출의 경우, 과거에는 친지나 지인 등의 연대보증으로 이뤄지다가 지금은 이를 폐지하고 개인 신용평가를 통한 대출로 바뀌었다"며 "금융기관내 기술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이 어렵고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하나, 민관의 협력으로 추진한다면 큰 의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이날 세미나에서 나온 의견과 금융위의 구상을 조율해 '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한 기술평가시스템 구축방안'을 올해 안에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이혜경기자 vixe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기술평가 표준화하고, 평가비용도 낮춰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