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한·베트남 소재부품 산업협력 MOU


[정기수기자] 지식경제부는 24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김재홍 성장동력실장이 레 쯔엉 꽝 산업무역부 차관과 양국 정부간 '소재부품분야 협력 양해각서(MOU)'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는 2011년 5월 지경부와 베트남 산업무역부간 체결한 '원전건설 및 포괄적 산업·에너지·자원 협력을 위한 MOU'의 후속조치의 일환이다.

이에 따라 양국은 지난해 기술협력전문가 TF를 통해 발굴한 섬유, 자동차, 기계, 전자분야 30대 선도 협력기술에 관해 올해부터 공동 R&D(연구개발)를 지원하게 된다.

공동 R&D에 성공한 소재부품에 대해서는 베트남 현지에 진출한 한국 수요기업으로의 판로개척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며, 30대 협력기술은 향후 단계적으로 100대 기술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베트남 소재부품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인적역량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매년 160명 내외의 베트남 공무원, 연구원, 기업 CEO 등을 대상으로 한 전문교육도 실시할 예정이다.

이밖에 이날 MOU 체결식에는 양국의 정부, 연구기관, 유관 기업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해 공동 R&D, 인력양성 등 주요 협력사업의 운영방안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됐다.

베트남 측의 요청으로 국내 전문컨설팅기관(STEPI)이 작성한 '베트남 소재부품산업 발전전략 권고(안)'도 전달됐다.

이날 김재홍 지경부 성장동력실장은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소재부품의 중요성과 산업화 초기 대부분의 소재부품을 수입에 의존하던 우리나라가 '소재부품 세계 5대 강국'이 된 성공스토리를 소개했다.

김 실장은 또 "양국간 소재부품 교역규모가 연평균 23%의 비약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전체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3%에 이르고 있다"며 "이번 MOU를 통해 한국의 발전경험을 공유하게 되면 두 나라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과 베트남간 소재부품 교역규모는 2011년 7억달러에서 지난해 94억달러로 급증했다.

레 쯔엉 꽝 베트남 산업무역부 차관도 "이번 MOU 체결로 베트남이 소재부품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됐다"며 "향후 베트남 정부의 '소재부품산업 육성정책' 수립에도 한국 정부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한편 김재홍 실장은 이날 MOU 체결식을 마친 후, 현지 진출한 한국기업인들과의 간담회 및 현지공장 방문을 통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직접 점검했다.

김 실장은 오는 25~26일에는 중국을 방문해 심천시 천비아오 부시장과 양국간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협력증진방안을 논의한 후, 우리나라 팹리스기업이 입주해 있는 '한-중 시스템IC협력연구원'을 방문할 예정이다.

정기수기자 guyer73@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베트남 소재부품 산업협력 MOU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