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전다윗 기자] 프랜차이즈 가맹점 창업 비용은 평균 1억5천9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비 회수 기간은 평균 3.6년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가맹본부 800사 및 가맹점 1000개를 대상으로 시행한 2023년 프랜차이즈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2023 프랜차이즈 산업 실태조사 결과. [사진=대한상공회의소]](https://image.inews24.com/v1/b2b472b573ef53.jpg)
조사 결과에 따르면 프랜차이즈 가맹점 신규 창업에는 평균 1억5900만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이 1억81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외식업(1억5000만원), 도소매업(1억4900만원)이 그 뒤를 이었다.
투자 비용 회수까지는 평균 3.6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외식업(3.2년), 서비스업(3.6년), 도소매업(4.8년) 순이다. 세부업종별로는 분식(2.5년), 치킨(2.6년), 편의점(3.0년), 이미용(3.0년)이 상대적으로 짧았다.
가맹점 10곳 중 8곳(79.7%)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경영상에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영향 없다는 응답은 20.3%에 그쳤다.
최저임금 인상 대응책으로는 점주와 가족의 근무 확대(44.3%), 종업원 근무시간 축소(25.3%), 인건비 외 비용절감(23.9%), 종업원 수 감축(19.3%) 등이 거론됐다.
가맹점주들은 창업 시 애로사항으로 상권 분석(53.9%), 사업성 분석(42.1%), 가맹브랜드 선택(41.3%), 사업아이템 선정(41.2%), 초기투자금 조달(40.4%) 등을 차례로 꼽았다. 매장 운영 애로사항으로는 점포 임대료(35.1%), 인건비(25.2%), 원재료비(26.1%), 경쟁심화(19.9%) 등을 언급했다.
1년 전과 비교한 매출액 증감 여부에 대해서는 1년 전과 비슷하다(69.5%), 하락했다(22.5%)는 의견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1년 전에 비해 매출이 하락하거나 비슷한 상황에서 가맹점주들은 가맹본부가 원부자재 가격인하(26.6%)와 더불어 적극적인 광고‧판촉(24.8%) 및 좋은 신상품 개발(17.6%) 등을 통해 매출을 성장시켜 주기를 희망했다.
가맹점이 반드시 구매해야 하는 필수품목에 대해서는 '품질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51.8%인데 반해, '가격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42.2%로 나타났다.
가맹본부는 평균 77개의 가맹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평균 183개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비스업(104개), 외식업(52개) 순이었다.
또 가맹본부 2곳 중 1곳(53.0%)은 가맹점으로부터 로열티를 받고 있다고 답했다. 지난 2021년 41.9% 대비 도입 비중이 11%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가맹점이 잘될 때 가맹본부 이익도 증가하는 런닝로열티 제도는 가맹점수가 많아질수록 도입 비중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맹점수 10개 미만일 때 런닝로열티 비중은 16.2%에 불과하지만 10개 이상 99개 이하일 땐 27.2%, 100개 이상일 땐 37.9%로 증가했다.
가맹점주 2명 중 1명(47%)은 '개인 자영업자가 아닌 프랜차이즈 가맹점이어서 팬데믹 위기를 극복하는 데 더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도움이 안됐다'는 의견은 8.4%에 그쳤다.
가맹점주 2명 중 1명(47%)은 '개인 자영업자가 아닌 프랜차이즈 가맹점이어서 팬데믹 위기를 극복하는 데 더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도움이 안됐다'는 의견은 8.4%에 그쳤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프랜차이즈는 브랜드 인지도가 높고, 가맹본부가 상품 개발, 광고‧판촉, 운영관리를 해주는 데다 코로나 기간에도 외부 플랫폼앱과 키오스크 도입 등 자신이 부족한 경험과 노하우를 계속 지원했다. 혼자서 모든 것을 해결해야 하는 개인사업자에 비해 위기 극복에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를 반영하듯 점주의 프랜차이즈 가맹점 운영 만족도는 매출 수준(58.8점)과 점주 근로 조건(58.8점) 만족도 보다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이 제공하고 있는 점포운용 용이성(63.8점), 영업지역 보호(63.4점), 가맹본부 마케팅(61.4점)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계약 기간 종료 시 재계약 의향을 묻는 질문에도 가맹점주 10명 중 8명(79.3%)은 '재계약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또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점주를 포함해 가맹점당 평균 3.8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외식업이 4.2명으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업 3.6명, 서비스업 3.4명 순으로 조사됐다.
김민석 대한상의 유통물류정책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프랜차이즈 시스템이 일반 자영업에 비해 위기 극복에 뛰어난 점이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가맹본부와 가맹점이 함께 성장해나가기 위해서는 로열티제도가 정착되고, 가맹본부의 매출 제고 및 수익 개선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다윗 기자(david@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