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태환 기자] 가계 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인 '엥겔계수'가 2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준금리와 유가상승으로 인해 물가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식료품 외 소비를 줄인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 위축이 장기화될 경우 고물가와 경기부진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상품을 고르고 있다. [사진=아이뉴스24 DB]](https://image.inews24.com/v1/2dd330b86759f9.jpg)
◆엥곌계수 21년 만에 최고치…"식료품 외 소비 줄인다"
1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최근 현대경제연구원은 보고서를 발간하고 엥겔계수와 슈바비계수를 통해 가계소비의 특징과 시사점을 정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의 엥겔계수는 12.86%로 2020년(12.85%)보다 상승했다. 이는 2000년(13.29%)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엥겔계수는 가계의 식료품과 비주류음료 지출이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일반적으로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숫자가 낮아지는 특징을 가진다.
가계의 총소비지출에서 전월세 비용이나 주택 관련 대출상환금, 세금, 보험 등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율인 '슈바베계수'도 상승하는 추세다. 지난 2019년 슈바베계수는 17.50%였지만 지난해 17.94%를 기록했다. 저소득층일수록 상대적으로 주거비 비중이 높기 때문에, 슈바비계수가 높아진다는 것은 빈곤층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상품을 고르고 있다. [사진=아이뉴스24 DB]](https://image.inews24.com/v1/09fca8d2b7eee6.jpg)
보고서는 엥겔계수와 슈바베계수의 급등 원인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불황 장기화 ▲물가 상승 ▲주택 가격 상승으로 인한 전월세비용 증가로 꼽핬다.
실제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8년과 2019년은 가계소비(가계의 국내소비지출)증가율이 소득(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상회했지만, 코로나 위기 이후인 2020년과 지난해는 이 관계가 역전돼 가계소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하회했다.
2020년과 지난해 소비지출증가율은 -3.3%, 6.8%를 기록했지만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0.6%, 6.5%를 기록했다. 이는 사실상 2년 연속 소비를 줄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식료품 생산의 재료가 되는 원자재 값 상승으로 인해 식료품 가격이 높아진 것도 원인으로 분석된다. 전체 수입 물가 상승률은 2019년 0.8%에서 2020년 -8.7%의 감소세로 전환됐으나, 지난해에는 17.6%로 크게 높아졌다. 특히, 수입 물가 품목 중 농림수산품 수입물가 상승률은 2020년 0.6%에서 지난해에는 13.5%에 달하고 있다.
슈바베계수가 상승에 영향을 끼친 것은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주택매매가격지수 증가율 2017냔 1.3%였지만 2020년 3.8%, 지난해는 13.5%로 높아졌다. 급격한 가격 상승이 전월세 시장의 불안정성까지 이어지면서 전반적인 주거비를 높인 셈이다.
이런 상황이 장기화되면 스태그플레이션의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과 동시에 경기 부진이 나타나는 것인데, 현재 물가 상승 요인이 많지만 실물 경제 회복은 더딜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유가는 WTI 기준 106달러를 기록하는 등 고유가가 지속되고 있으며, 국내 공공 서비스 요금 인상을 앞두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끝나지 않은 코로나19 방역으로 인해 실물 경제의 회복은 더딜 수 있다는 전망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민간 고용 시장 회복을 통해 가계 소비 심리 개선을 도모해야 하며, 밥상 물가 안정을 위해 불필요한 물가 상승 요인의 억제와 물가 급등 품목에 대한 시장 수급 상황 개선에 주력해야 한다"면서 "또 주거비 부담 수준을 완화하기 위해 주택 공급 확대 및 저가 주택임대 시장 활성화가 필요하며 비생계형 소비인 외식·레저·문화 관련 지출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소비 진작책을 마련해 가계 소비의 질적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환 기자(kimthi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