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 10명 중 1명이 올해 자발적으로 회사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퇴사자는 '영업·영업관리' 부서에서 많았다.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 10명 중 1명이 올해 자발적으로 회사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아이뉴스24 DB]](https://image.inews24.com/v1/a88790bff5cab4.jpg)
26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직원 수 300인 미만 중소기업 307개 사를 대상으로 '2021년 직원 퇴사율 현황'을 조사한 결과, 중소기업의 직원 퇴사율은 평균 11.2%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동일 조사 결과인 14.9%에 비해 소폭 낮아진 수치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 침체가 올해도 지속되자 중기 직장인들이 이직보다는 재직 중인 기업에 머무르는 것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중소기업에서 퇴사자가 가장 많았던 부서(복수응답)에 대해 인사·채용담당자들은 '영업·영업관리(40.2%)'에서 유독 퇴사자가 많았다고 답했다. 이어 ▲생산·기술·현장직(31.7%) ▲마케팅·홍보(18.0%) ▲IT개발·운영(17.5%) ▲기획·전략(15.3%) 순이었다.
또 언급된 부서에서 퇴사자가 많았던 이유에 대해 인사·채용담당자들은 특정 업무에 따른 스트레스 때문(51.9%)이라고 가장 많이 답했다. 이어 ▲야근·특근 등 타 부서보다 높은 업무 강도(45.0%) ▲타 직무 보다 낮은 급여수준(28.0%) ▲경쟁사, 관계사 등 이직제의가 쉽게 이뤄질 수 있는 부서·업무 특성(24.9%) ▲부서장·관리자의 리더십 부족, 관리소홀(17.5%) 등이 있었다.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 10명 중 1명이 올해 자발적으로 회사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아이뉴스24 DB]](https://image.inews24.com/v1/af913a31c334c3.jpg)
더불어 퇴사자 발생 시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퇴사자 면담을 진행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면담 결과를 토대로 직원 근속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 실행하는 곳은 25.1%에 그쳤다. 나머지 50.3%는 '방법을 마련하긴 하지만 경영 등의 이슈로 실행까지 이어지진 않는다'고 답했고, 24.6%의 기업은 아예 방법 마련조차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유미 기자(sweet@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