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영웅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원, 수출경쟁력 강화, 미세먼지 저감, 포항지역 피해복구 등을 위해 전체 28개 사업, 4천378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마련해 국회에 제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추경은 미세먼지 발생으로 국민건강과 생활안전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조선업과 자동차 업종을 기반으로 한 산업위기지역의 어려움 지속,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감소와 같은 경기 하방리스크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됐다고 설명했다.
먼저 정부는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의 조속한 회복을 위해 2천402억원을 편성하고, 산업부는 이중 452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울산 동구, 경남 통영·고성, 거제, 창원 진해구, 전남 영암·목포·해남 등 5개 지역의 지정기간을 2년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조선업계 위기극복 및 친환경 대응을 위해 조기추진이 필요한 기자재업체 위기극복 R&D(60억원), LNG화물창 건조 전문인력 양성(45억원), LNG특화 설계·엔지니어링 대-중소 협력 지원(26억원), 알루미늄 소형선박 개발지원(10억원) 등의 사업은 신규 착수하기로 했다.
특히 정부는 수출부진을 극복하기 위한 금융정책 지원에 가장 많은 금액인 1천868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중소·중견기업의 유동성 확보를 위해 무역보험기금에 1천700억원을 추가로 출연해 수출계약기반 특별보증, 수출채권 현금화보증, 매출채권 현금화 보증, RG 등에 대한 무역금융 지원을 신설·보강한다.
또한 미세먼지 획기적 저감에 나선다. 발전사업자 환경설비, 신재생 보급 등 발전분야 뿐만 아니라, 전기차충전소, 가스냉방 등 폭넓은 분야에서 배출원별로 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사업에 총 950억원을 편성한다.
포항지진 복구지원 사업도 마련됐다. 정부는 포항지역 경기회복을 위해 현장안전, 경영자금, SOC 등 1천131억원을 편성하였으며, 산업부는 이중 131억원(2개 사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산업부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광주에서 시작된 '상생형 일자리 모델'이 우리 사회의 다양한 분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상생형일자리투자기업 보조금, 지역별 모델발굴 컨설팅을 위한 사업에도 228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영웅 기자 hero@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