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정부 "올해 정부 출자기관 배당성향 28% 목표"


송언석 기재부 차관 "현 배당성향, 선진국 공기업 절반…어렵지만 가야해"

[이혜경기자] 정부가 올해 정부 출자기관의 배당성향을 28%로 높인다.

송언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24일 오후 서울지방조달청에서 개최한 정부 출자기관 간담회에서 "선진국 수준의 배당문화 조성을 위해 출자기관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며 이 같은 계획을 전했다.

정부는 지난 2014년말에 오는 2020년까지 정부 출자기관의 배당성향을 40%까지 높이겠다는 배당정책을 수립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올해는 정부 출자기관의 배당성향 28%를 맞추고 이후 2017년에 31%, 2018년 24%, 2019년 37%를 거쳐 2020년에 40%로 점진적인 상향 조정을 진행할 방침이다.

배당성향은 기업이 한 해 동안 달성한 순이익에서 현금으로 지급한 배당금 총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기재부에 따르면 해외 주요국의 공기업 평균 배당성향(2011~2013년 연도별 별균)은 스웨덴이 48.0~82.9%, 뉴질랜드가 62.7~76.5%, 프랑스가 45.5~47.7%, 영국이 48.1~68.9%, 핀란드가 53.2~63.3% 등이다.

송언석 차관은 "지난 10년간 정부배당 규모가 50% 이상 증가하고 배당성향도 7%p 이상 높아졌지만, 아직 우리 정부 출자기관의 배당성향은 작년에 25%로 영국, 프랑스, 스웨덴 등 주요 선진국들의 출자기관에 비해 절반에 불과하다"며 "정부 출자금 대비 배당수입 비율도 0.8%로 여전히 저조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민간기업 배당성향도 17%로, 세계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덧붙였다.

송 차관은 "중기 배당목표 28%를 기준으로 올해 기관별 배당성향을 산정했다"며 "대외 불확실성 확대, 글로벌 경쟁 심화 등 그 어느 때보다도 경영 여건이 어려운 상황에서 정부배당 확대가 부담이 될 수 있으나, 선진국 수준의 배당문화 조성을 위해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확고한 방침을 전했다.

다만 "배당성향 산정 등 배당결정이 지금까지는 일률적으로 이뤄져 왔지만 향후에는 개별 출자기관이 처한 여건과 특수성도 종합적으로 감안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혜경기자 vixe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정부 "올해 정부 출자기관 배당성향 28% 목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현안 관련 기자회견하는 윤상현
현안 관련 기자회견하는 윤상현
고개 숙여 인사하는 주진우
고개 숙여 인사하는 주진우
주진우, 당대표 출마선언
주진우, 당대표 출마선언
당대표 출마선언하는 주진우
당대표 출마선언하는 주진우
모두발언하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
모두발언하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
농어업고용인력 지원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 본회의 가결
농어업고용인력 지원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 본회의 가결
이은지 '끼 폭발 매력 폭발 대세 예능인'
이은지 '끼 폭발 매력 폭발 대세 예능인'
곽준빈 '빵 먹는 포즈 아니에요'
곽준빈 '빵 먹는 포즈 아니에요'
추성훈 '몸매부터 패션인 아조씨'
추성훈 '몸매부터 패션인 아조씨'
추성훈의 밥값은 해야지 '현지 밀착 리얼 생존 여행기'
추성훈의 밥값은 해야지 '현지 밀착 리얼 생존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