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송무기자] 저축은행 사외이사로 재직한 사실이 드러난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과 허준영 코레일 사장 등이 결국 낙마할지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부산 저축은행 불법 예금인출 사태로 서민들이 큰 피해를 입으면서 주목된 저축은행 사건은 현재 정관계 로비 의혹으로 번지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국민들의 분노가 일파만파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이 2004년 9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삼화저축은행 사외이사로 재직한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됐다. 경찰청장 출신인 허준영 코레일 사장도 2008년 11월부터 4개월여간 강원도민저축은행 사외이사로 재직했다.
정진석 수석은 논란이 불거지자 해명 자료를 통해 "사외이사로 등재돼 있는 동안 삼화저축은행의 경영회의에 참석하거나 은행을 위해 로비 활동을 한 적이 전혀 없다"면서 "당시는 물론 지금까지 삼화저축은행 경영진과 개인적으로 교류한 적이 없고, 당시에는 저축은행이 사회의 지탄을 받거나 골칫거리로 지목되는 상황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야당의 사퇴 압력은 계속됐다. 민주당 차영 대변인이 논평을 통해 "김황식 총리, 정진석 정무수석 등 이번 사태에 관련이 있는 사람들은 이제라도 마땅히 책임져야 한다"며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와 김황식 총리·정진석 수석의 사퇴가 없다면 국민은 이명박 대통령-김황식-정진석 삼각 라인에 의한 부실 대출이라고 볼 것"이라고 지적했다.
우위영 민주노동당 대변인 역시 "정진석 수석은 많은 급여를 받은 것도 아니고, 1년에 한 두 번 가서 덕담이나 하는 일을 했는데 뭐가 문제라는 식이지만, 매우 궁색한 변명"이라며 "청와대는 즉시 정진석 정무수석을 면직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저축은행 사태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청와대로 옮겨가게 돼 있다"고 공세를 폈다.
20일에도 민주당 이춘석 대변인이 CBS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공직자는 일반적으로 더 엄격한 도덕성을 갖춰야 한다고 보지만 지금 행태를 보면 일반 국민의 상식에도 못 미치고 있다"면서 "국민의 더 큰 공분을 사기 전에 관련된 이들은 스스로 죄를 자복하고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여권에서도 정진석 정무수석 등 관련된 고위 인사들에 대해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강성천·강승규·권성동·권택기·김성동·김성회·김소남·김영우·박준선·손숙미·안효대·원희목·이정선·장재원·조진래·조해진 의원 등 여당 의원 16명은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특혜인출 및 정보제공자, 저축은행 관리대상자, 사외이사 혹은 감사진, 그리고 금융 감독 책임자는 스스로 사퇴하고 공직사회에서 영원히 추방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원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저축은행 사태로 정권 차원에서 큰 역할을 담당했던 공직자들의 구조적 비리까지 드러나고 있다"면서 "이와 관련된 이들은 어떤 권력기관이든 법적 도덕적 책임을 지고 스스로 물러나거나 공직 사회에서 추방돼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부산저축은행 피해자들이 지난 달 국회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사진 최규한기자 dreamerz2@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