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달의 남북극에 물, 이렇게 분포한다 [지금은 우주]


지질지원연, 다누리 감마선 분광기 활용한 연구결과 발표

KIGAM의 우주자원 탐사개발 모식도. [사진=지질자원연]
KIGAM의 우주자원 탐사개발 모식도. [사진=지질자원연]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달의 남북극에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물 분포 지도가 나왔다. 우리나라 달 탐사선 다누리의 관측장비를 활용해 만든 것이다.

2022년 8월에 발사한 대한민국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인 다누리호(KPLO).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달 자원 등 우주자원탐사를 미래 비전으로 제시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다누리호에 실린 감마선분광기(KPLO Gamma-Ray Spectrometer, KGRS)를 활용해 달 극지의 물 분포 지도를 만들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 KIGAM) 우주자원개발센터 김경자 박사 연구팀은 지난 2년 동안 KGRS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 달 극지의 물 분포 지도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달의 북극이 남극 보다 더 넓은 지역에 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함량도 높을 것으로 분석해 루나 프로스펙터 미션과 비슷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KIGAM의 우주자원 탐사개발 모식도. [사진=지질자원연]
로즈데스트벤젠스키(Rozhdestvenskiy) 북극지역 영구음영지역. [사진=지질자원연]

앞으로 루나 프로스펙터가 달 북극과 남극 지역의 얼음 함량을 각각 4.6%와 3.0%로 추정하고 북극에 약 3억3000만 톤의 물이 존재할 것으로 분석한 결과를 추가 전산모사(simulation)를 통해 검증할 예정이다.

KGRS 연구 결과는 중성자 수 감소를 통해 달 극지방 표면에 물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방식이다. 이전 루나 프로스펙터 미션의 결과를 재검증하는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되고 있다.

루나 프로스펙터(Lunar Prospector) 미션은 1998년에 미국 항공우주청(NASA)이 발사한 달 탐사선으로 달의 자원과 환경에 대한 중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진행된 미션을 말한다.

이번에 제작된 달 극지의 물 분포 지도는 달 북극의 대표적 영구 음영 지역이자 얼음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충돌분지인 로즈데스트벤스키 지역에서 중성자 감소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해당 지역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이 존재함을 입증했다. 이러한 발견은 달의 물 분포와 지질학적 기원의 이해는 물론 앞으로 인류의 달 자원개발과 기지 건설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KGRS 차폐분광기의 붕소(Boron)와 중성자의 반응으로 생성된 487 킬로전자볼트(keV)의 감마선 피크(peak)를 분석해 중성자 지도를 제작했다. 이를 통해 달의 원소 분포와 물 존재를 추적함으로써 달 극지 자원 산정에 중요한 정보를 확보했다.

KGRS의 중성자 지도는 열중성자와 열외중성자 영역에서 주로 반응이 일어나는데 극지역 표토층에서 물의 함량과 중성자 수의 관계를 전산모사 한 결과, 달 표면에 물 함량이 많을수록 중성자 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확인했다.

KGRS의 달 표면 원소지도는 기존 루나 프로스펙터의 중성자 지도와 일치해 신뢰성이 높다. NASA Moon Trek 사이트에 공개돼 국제 달 자원조사 컨소시엄(International Lunar Prospecting Consortium)의 달 자원 산정을 위한 국제활동 수행에 활용될 예정이다.

KIGAM의 우주자원 탐사개발 모식도. [사진=지질자원연]
KGRS 중성자 지도(A, B)와 루나 프로스펙터 열중성자지도(C), 열외중성자지도(D). [사진=지질자원연]

김경자 센터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KIGAM의 독창적 달 자원탐사 기술력을 증명하고 앞으로 달을 포함한 우주 자원 개발과 탐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속적 달 자원 탐사 연구를 통해 대한민국의 우주 자원 기술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우주 탐사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감마선 분광기는 2022년 8월 5일 다누리호 발사를 통해 본격 탐사에 나섰다. 고도 100km 달 궤도에서 달의 원소 분포, 물 함량, 중성자 방사선 등에 대한 중요한 데이터를 10초마다 수집해 달의 원소 지도와 중성자 지도, 극지방 물 분포 지도를 작성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올해 2월부터는 다누리의 고도가 60km로 낮춰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강한 감마선 분광신호를 얻을 수 있어 앞으로 달 표면에서의 물(H) 지도는 물론 기타 원소지도 작성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달의 남북극에 물, 이렇게 분포한다 [지금은 우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윤서빈, 카리스마
윤서빈, 카리스마
'전력질주' 기대하세요
'전력질주' 기대하세요
다현, 눈부신 자태
다현, 눈부신 자태
이신영, 전력질주 준비 완료
이신영, 전력질주 준비 완료
'뛸 준비완료!' 하석진, 전력질주
'뛸 준비완료!' 하석진, 전력질주
'은중과 상연'​ 김고은, 눈물의 제작발표회
'은중과 상연'​ 김고은, 눈물의 제작발표회
'은중과 상연' 김고은X박지현, 꺄르르 여고생들 같아
'은중과 상연' 김고은X박지현, 꺄르르 여고생들 같아
'은중과 상연'​ 박지현, 얼음공주 상연
'은중과 상연'​ 박지현, 얼음공주 상연
'은중과 상연' 김고은, 러블리 은중
'은중과 상연' 김고은, 러블리 은중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참석하는 추경호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참석하는 추경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