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SKT 'AI 누구 케어콜' 코로나19 전화 업무 85% 줄였다


경남 적용 한달 간 관련자 2만4천콜·258시간 통화

[아이뉴스24 송혜리 기자] SK텔레콤 인공지능(AI) 전화 모니터링 시스템 '누구(NUGU) 케어콜'이 경남지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도우미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자가격리∙능동감시 중인 대상자 증상을 모니터링하는 AI 시스템 '누구 케어콜' 경상남도 지역 도입 한 달을 맞아, 그간 운영 성과를 25일 공개했다.

'누구 케어콜'은 SK텔레콤이 AI '누구'를 활용,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한 시스템이다. 지난달 20일부터 경상남도 지역 18개 시군 20개 보건소에 적용해 자가격리∙능동감시 대상자 발열·체온·기침∙목아픔 등 코로나19 관련 증상 발현 여부를 체크했다.

SK텔레콤은 '누구 케어콜'이 지난 한 달간 기존 보건소 인력을 대신해 경상남도 내 자가격리∙능동감시 대상자 2천442명을 대상으로 2만4천콜 258시간 전화 모니터링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경상남도는 '누구 케어콜' 도입 후 보건소 자가격리∙능동감시자 전화 모니터링 관련 업무가 약 85% 가량 감소했고, 코로나19 발생 후 과중해진 현장 업무 경감에 도움이 됐다고 전했다.

또 '누구 케어콜'은 지난 한달 간 발생한 경상남도 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약 40%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나머지 60% 확진자가 해외입국자 전수검사 대상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모니터링 대상인 자가격리∙능동감시자의 상태를 완벽하게 파악해낸 것이라고 SK텔레콤 측은 설명했다.

SK텔레콤은 경상남도·현장 보건소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지역별 맞춤 솔루션 개발이나 AI 수신 시나리오 추가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AI '누구 케어콜' 서비스 성과 [출처=SKT]

이현아 SK텔레콤 AI서비스단장은 "코로나 19의 방역을 위해 각계에서 수고해주시는 분들의 노고를 조금이나마 덜어드리고자 '누구 케어콜'을 도입했다"며 "앞으로도 인공지능 서비스와 기술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송혜리 기자 chewoo@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SKT 'AI 누구 케어콜' 코로나19 전화 업무 85% 줄였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NCT 127, 4명이어도 꽉 채우는 존재감
NCT 127, 4명이어도 꽉 채우는 존재감
엔믹스, 청량한 마린걸~
엔믹스, 청량한 마린걸~
엔시티 위시, K팝 대표 귀염둥이
엔시티 위시, K팝 대표 귀염둥이
올데프 타잔, 블루카펫을 런웨이로 만드는 명품 모델 워킹
올데프 타잔, 블루카펫을 런웨이로 만드는 명품 모델 워킹
있지 유나, 골반 여신 미모 성수기
있지 유나, 골반 여신 미모 성수기
있지(ITZY), 전원 비주얼 자신 있지~
있지(ITZY), 전원 비주얼 자신 있지~
아이브 장원영, 천재 아이돌과 아이컨텍
아이브 장원영, 천재 아이돌과 아이컨텍
롤라팔루자 무대 찢고 온 아이브
롤라팔루자 무대 찢고 온 아이브
아이브 안유진, 여름 여신으로 변신한 안댕댕
아이브 안유진, 여름 여신으로 변신한 안댕댕
올데이 프로젝트 애니, 다정한 사막여우
올데이 프로젝트 애니, 다정한 사막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