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성장둔화 보험업, "저성장·금리상승·4차산업 대비해야"


금리인상 및 경제환경·세제·수수료 체계 변화로 타격

[아이뉴스24 김지수기자] 보험업계가 내년도 명목경제성장률의 소폭 상승에도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용식 보험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보험출입기자 아카데미 강연을 통해 "보험시장의 높은 성숙도로 인해 보험산업의 성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경제환경 변화와 세제 및 수수료 체계 변화로 인한 저축성보험 감소세 심화가 보험산업 성장세를 제한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험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내년도 명목경제성장률을 작년 4.7%에서 소폭 상승한 5.1%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성장률 둔화와 함께 보험계약실적(신계약 선수)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보험산업 전체의 전망을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보험계약실적은 지난 2007년 2천820만 건을 기록한 뒤 작년 1천440만 건으로 지속적인 하향세를 보여왔다.

보험연구원은 금리 상승으로 인해 수익성과 건전성이 낮은 보험회사들의 경우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전 실장은 "금리 상승으로 인한 보험회사의 건정성 저하와 가계의 부채 부담 확대 및 취약계층 증가로 인한 위험보장 공백 확대가 우려된다"며 "금리 상승으로 보험 해약률이 상승하게 되면 가계의 건강 및 소득위험을 확대시킬 수 있다"는 견해를 보였다.

보험산업 보험료 증가율은 올해 0.81%에서 내년 1.24%로 전망된다. 하지만 초회보험료는 생명보험의 변액저축성, 손해보험의 운전자·재물·통합보험을 제외하고 성장세가 크게 둔화될 것으로 보험연구원은 예상하고 있다.

보험연구원은 보험산업 전반에 어려움이 닥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저성장·금리 상승·4차 산업혁명 등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전 실장은 보험업계의 경영 및 정책과제로 ▲본연의 경쟁력 강화 ▲보험회사 위험관리 ▲사회안전망 역할 강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경제 대비 등을 언급했다.

그는 "본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반손해보험의 역량 강화 및 시장 확대, 비용 효율적 해외 진출 겸영업무·간단보험·전문보험회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며 "새로운 회계제도(IFRS 9·17) 및 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에 따라 보험회사의 전면적인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김지수기자 gsoo@joy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성장둔화 보험업, "저성장·금리상승·4차산업 대비해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목 축이는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
목 축이는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
모두발언하는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
모두발언하는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
질의에 답변하는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
질의에 답변하는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
선서하는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
선서하는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대책회의 참석하는 김용태-송언석
인사청문회 대책회의 참석하는 김용태-송언석
발언하는 송언석 원내대표
발언하는 송언석 원내대표
국민의힘 비리백화점 이재명 정부 인사청문회 대책회의
국민의힘 비리백화점 이재명 정부 인사청문회 대책회의
김병기-송언석, 여야 원내대표 회동
김병기-송언석, 여야 원내대표 회동
김민석 인사특별위에서 발언하는 이종배 위원장
김민석 인사특별위에서 발언하는 이종배 위원장
'NCT 퇴출' 고개 숙인 태일, 특수준강간 혐의 인정
'NCT 퇴출' 고개 숙인 태일, 특수준강간 혐의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