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 전년 대비 19.4%p↓


금감원 "금리 하락해 보험 부채 증가 영향"
"100% 웃돌아 손실 흡수능력은 양호"

[아이뉴스24 신수정 기자] 삼성·현대차·한화 등 7개의 금융복합그룹의 자본 적정성 비율이 전년 대비 20%포인트(p) 가까이 낮아졌다.

금융감독원이 25일 공개한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에 따르면 교보, DB, 다우키움, 삼성, 미래에셋, 한화, 현대차 등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174.3%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말(193.7%)에 비해 19.4%p 하락한 수치다.

금리 하락에 따른 보험부채 증가 등으로 보험계열사 그룹의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이 큰 폭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자본 적정성 비율은 실제 손실흡수능력인 '통합자기자본'을 금융복합기업집단 수준의 추가적 위험을 고려한 최소자본 기준인 '통합필요자본'으로 나눈 것이다. 관련 법에 따라 100%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7개 그룹의 통합자기자본은 171조1000억원으로 전년 말(175조8000억원)에 비해 4조7000억원(2.7%) 감소했다. 통합필요자본은 보험계열사 그룹의 장해·질병 위험액이 늘며 8.1% 증가했다.

집단별 자본 적정성 비율을 보면 교보(201.4%)의 자본 적정성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DB(195.0%), 다우키움(193.8%), 삼성(185.1%), 미래에셋(164.2%), 한화(154.9%), 현대차(146.9%) 순이었다.

전년 말과 비교하면 미래에셋(+8.7%p)만 상승했다. 교보(-37.5%p), 삼성(-25.4%p), DB(-23.7%p), 한화(-17.4%p), 다우키움(-14.9%p), 현대차(-7.7%p)는 하락했다.

금감원은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금리·주가 등 금융시장 변동에 따른 자본적정성 비율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금융복합기업집단 내 전이·집중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거래, 공동투자 등 관련 잠재 위험 요인의 관리 강화를 유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신수정 기자(soojungsin@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 전년 대비 19.4%p↓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아이포토] '재구속 갈림길'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심사 직접 출석
[아이포토] '재구속 갈림길'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심사 직접 출석
尹 구속심사 열린 법원 삼엄한 경비
尹 구속심사 열린 법원 삼엄한 경비
법정으로 향하는 윤 전 대통령
법정으로 향하는 윤 전 대통령
윤석열 전 대통령, 다시 운명의 날
윤석열 전 대통령, 다시 운명의 날
'재구속 갈림길' 굳은 표정의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갈림길' 굳은 표정의 윤석열 전 대통령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실질심사 출석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실질심사 출석
재구속 갈림길 선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갈림길 선 윤석열 전 대통령
주현영, 해변으로 가요~ 폭염 날리는 시스루 패션
주현영, 해변으로 가요~ 폭염 날리는 시스루 패션
'악마가 이사왔다' 성동일, '개딸'도 모자라 '악마딸' 아빠
'악마가 이사왔다' 성동일, '개딸'도 모자라 '악마딸' 아빠
'악마가 이사왔다' 안보현, 무해한 백수 청년 길구
'악마가 이사왔다' 안보현, 무해한 백수 청년 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