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진성 기자] 지난 해 4분기 랜섬웨어 피해가 총 1899건으로 3분기(1318건) 대비 44%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수치다.
![SK쉴더스 2024 4분기 랜섬웨어 트렌드. [사진= SK쉴더스]](https://image.inews24.com/v1/4b5e82f8f1e9d6.jpg)
SK쉴더스(대표 홍원표)는 27일 공개한 2024년 4분기 KARA(Korean Anti Ransomware Alliance)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가운데 RansomHub 그룹이 240건의 피해를 발생시키며 가장 활발한 공격을 감행했으며, Akira 그룹은 백업 솔루션의 취약점을 악용해 랜섬웨어를 유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피해를 보면 제조업(421건), 유통·무역·운송(197건), IT·통신(189건) 순이었다. 의료 기관과 공항 등 사회 기반 시설을 겨냥한 공격도 증가하고 있으며, 헬스케어 산업이 새로운 표적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텍사스 의료기관에서는 1500건 이상의 환자 정보가 유출됐으며, 멕시코 공항운영사에서는 3TB 규모의 데이터가 탈취됐다.
보고서는 최근 ‘FunkSec’, ‘Sarcoma’, ‘SafePay’ 등 신규 랜섬웨어 그룹이 등장하며 사이버 공격 방식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생성형 AI 기반 맞춤형 공격 △피싱 웹사이트를 통한 정보 탈취 △다중 운영체제 대상 공격 △유출된 소스코드 악용 등 새로운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김병무 SK쉴더스 사이버보안부문장(부사장)은 "랜섬웨어 공격이 제조는 물론 의료 분야 및 교육기관 등 핵심 인프라로 확산되면서 대규모 민감 정보 유출이 우려된다”며, "최근 랜섬웨어 공격이 개별 기업의 문제가 아닌 산업 전반의 위협으로 자리 잡은 만큼, SK쉴더스는 MDR을 비롯한 랜섬웨어 전용 솔루션을 통해 업계 전체가 함께 선제적으로 공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진성 기자(js4210@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