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모바일게임업계, '자율규제' 깃발 올렸다


자율규제 앱 개발 및 국제 등급분류 표준 마련

[강현주기자] 4대 중독법 등 각종 규제 이슈로 몸살을 앓고 있는 게임 업계가 모바일 게임 자율규제를 본격적으로 마련하기 시작했다.

16일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K-IDEA)는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이경재 방송통신위원장, 남경필 K-IDEA 협회장 및 통신3사 관계자, 삼성전자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회와 정부, 업계가 청소년 게임 과몰입 예방 국민과의 약속 협약식'을 실시했다.

이날 협약식을 통해 게임업계와 IT 업계는 청소년 모바일 콘텐츠 이용에 대한 자율규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무료배포하기로 했다.

이 앱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을 가족이 확인하고 협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통신 3사는 기존에 보유한 각자의 유해콘텐츠 차단앱들에 게임 특화 기능을 강화해 표준화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단말기 제조사들은 통신사들이 개발한 이 표준 앱을 스마트폰에 기본 장착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게임업체들은 모바일 게임 콘텐츠에 대한 표준화된 국제 등급분류 기준을 마련, K-IDEA는 미국 등급분류기관과의 협의 등을 거쳐 이르면 내년, 늦어도 내후년까지 이 등급분류 기준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모바일 게임업계가 이처럼 자율규제를 마련키로 한 것은 앞으로 발생할 각종 규제에 미리 대응하기 위해서다.

온라인게임에 셧다운제가 적용된 데 이어 게임을 4대 중독에 포함시킨 관리법이 추진되는 등 게임업계에 규제이슈가 불거지면서 모바일 게임도 언제 어떤 위기에 봉착할 지 모른다는 우려가 이같은 자율규제를 준비하게 했다는 평가다.

남경필 K-IDEA 협회장은 "모바일게임에 자율적 셧다운제를 추진하자고 설득했고 게임산업 성장 못지 않게 청소년도 보호해야한다는 데 업계가 동의하고 결단해줬다"며 "정부가 과몰입을 규제하는 것보다 부모와 아이간 소통을 통한 자율규제가 더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여성가족위원장 김상희 의원은 "많은 논의끝에 셧다운제를 시행했지만 막상 큰 효과가 없어 실효성 있고 교육적인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늦은감이 있지만 자율적으로 국민과의 약속을 통해 자율규제안을 마련하는 것에 대해 다행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현주기자 jjoo@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모바일게임업계, '자율규제' 깃발 올렸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