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정부, 올해 자동차 튜닝 산업 원년 만든다


튜닝산업 활성화 위해 TF구성·운영…올해 안에 관련법 개정 추진

[정수남기자] 국내 튜닝산업 활성화를 위해 관계 부처가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24일 지식경제부와 국토행양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안에 자동차 관리법 개정을 위해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TF는 작년 12월 중순 민주당 정장선 의원이 주최한 '자동차 튜닝활성화를 위한 간담회' 이후 발족됐으며, 양부처와 자동차부품연구원이 함께 참가한다.

김필수 교수(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가 TF를 총괄한다. 현재 TF는 선진국의 튜닝산업에 대한 법규 등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또 김 교수는 오는 3월 튜닝이 활성화된 일본을 방문해 현지 튜닝산업 전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할 예정이다.

김 교수는 "4월 총선을 거쳐 새 국회가 마련되면 올해 안에는 수십년만에 새로운 자동차 관리법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올해가 국내 튜닝산업의 원년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김 교수와 일문일답.

-국내 자동차 튜닝산업은 아직 불모지이다. 그동안 자동차 튜닝은 부정적인 시각이 강했고 산업의 한 분야이기 보다는 하나의 흥미거리로 치부돼 왔는데.

"그렇다. 그동안 '튜닝=불법'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보니 자연스레 관련 산업도 위축됐다. 정부 책임이 크다고 본다. 튜닝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가 서둘러 자동차 관리법을 개정해야 한다."

-작년 12월 중순 '자동차 튜닝활성화를 위한 간담회' 이후 진행상황을 말해달라.

"정장선 의원이 주최하고, 관계 부처와 관련 업계가 참가해 열린 이 간담회는 정치권이 튜닝산업에 대해 관심을 보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현재 지경부, 국토부 등 관계 부처를 중심으로 부품연구원 등이 참가해 TF를 구성, 튜닝산업 발전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있다."

-현재 진행 단계는.

"참석 공무원들이 이 분야에 전문가들이 아니다 보니 아직은 선진국 자료를 수집하는 정도다. 선진국 사례를 벤치마킹해 법규를 마련하는 등 우리 실정에 맞도록 재가공할 방침이다."

-이번 TF를 지휘하는데 어려움은 없나.

"학교에 몸을 담고 있다보니 먼 출장길을 나설 수가 없다. 사실 튜닝의 본고장인 미국과 유럽 등지를 돌아봐야 하지만 최소 일주일 이상 공백이 생기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가능, 우리 보다는 튜닝이 활성화된 일본을 우선 벤치마킹할 생각이다."

-국내 튜닝산업이 활성화될 경우 기대 효과는.

"국내 음성적 자동차 튜닝시장은 차량 애프터마켓(7조원)의 10% 수준인 연간 7천억원 규모다. 앞으로 튜닝이 합법화된다면 일본의 30% 수준인 연간 3∼4조원 시장으로 성장 가능하다. 여기에 전국 7~8개 대학에서 튜닝관련 학과가 있으나 이들이 졸업하게 되면 불법튜닝자로 법범자가 된다. 튜닝은 연간 5, 6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앞으로 계획은.

"큰 그림은 일단 올해 튜닝산업을 위해 법제화 작업을 마치는 것이다. 올해가 선거 정국이라 어수선하지만 법개정이 이뤄지면 오는 2014년 경에는 튜닝이 막대한 경제 효과를 창출하는 하나의 산업군으로 성장 할 수 있을 것이다."

정수남기자 perec@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정부, 올해 자동차 튜닝 산업 원년 만든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