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초기당뇨 약물치료 안하면 합병증 위험 2배↑


"질병 위험성 비해 관리효과 높아…초기부터 지속적 치료해야"

[정기수기자] 초기 당뇨병 환자라도 지속적인 약물치료를 하지 않으면 합병증 발생위험이 2배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는 2005~2009년 심사청구 자료를 이용, 당뇨병 약물치료 신환자의 약물치료 지속 여부가 합병증 발생 위험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소가 당뇨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당뇨치료제를 처음 처방받은 20~79세 환자 5만7465명을 대상으로 생존분석을 실시한 결과, 당뇨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단계부터 꾸준히 치료를 받는 경우 관상동맥질환, 신장질환 등의 만성 합병증 발생위험률이 약 20%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약물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지 않는 경우에는 당뇨합병증 발생위험률이 24% 높았다.

약물치료 지속 수준이 낮아질수록 합병증 발생위험률은 큰 폭으로 늘었다.

약물치료 지속성이 20%씩 낮아질수록 합병증 발생위험률은 10%, 18%, 67%, 131% 증가했는데, 이는 약물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은 환자에 비해 거의 받지 않은 환자는 합병증 발생위험이 2.31배 높다는 의미다.

첫해 당뇨 진료를 위해 이용한 의료기관 수도 합병증 발생위험률에 영향을 미쳤다.

1개의 의료기관만 이용한 환자보다 2~3개 기관을 이용한 환자의 경우 합병증 발생위험률이 22% 높게, 4개 기관 이상을 이용한 경우는 48% 높게 나타났다.

또 연령이 높아질수록 합병증 발생위험률도 높아졌다. 20~34세에 비해 65세 이상의 환자는 합병증 발생위험률이 53%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도 합병증 발생위험률은 남성보다 여성이, 의료급여 환자가, 중증질환자가 높다는 점도 확인됐다.

당뇨는 사망원인 5위에 해당하는 주요 질환으로, 당뇨질환 그 자체보다 합병증에 의해 삶의 질이 떨어지고 의료비용이 증가하는 병이다.

대표적인 합병증은 크게 미세혈관 합병증과 대혈관 합병증으로 구분된다. 미세혈관 합병증에는 망막병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이 있으며, 대혈관 합병증에는 뇌혈관 질환과 관상동맥질환 등이 있다.

연구소에 따르면 발병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어 규칙적이어야 할 치료제 복용을 빼먹는 경우가 40%이고, 병원을 바꿔가며 치료를 받은 경우가 61%에 달한다.

이럴 경우 만성합병증 발생으로 이어져 건강뿐만 아니라 재정적 측면에서도 큰 부담이 된다.

연구소 관계자는 "당뇨의 경우 질병의 위험성에 비해 관리 효과가 높은 질환"이라며 "합병증 발생과 재정적인 부담을 줄이려면 당뇨치료 초기부터 꾸준하고 지속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기수기자 guyer73@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초기당뇨 약물치료 안하면 합병증 위험 2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